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한 자아표상과 이에 따른 기호특성 연구

        홍장선(제1저자) ( Jang Sun Hong ),이종윤(교신저자) ( Jong Y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카카오톡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터넷 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고 쌍방향 텍스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개인의 자아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그 표상들이 어떤 기호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서 가치관이나 신념체계와 같은 주관성의 구조에서 그 결과를 찾아 유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발견된 각 유형들을 바탕으로 유형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31개의 Q 표본과 24개의 P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세 가지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제1유형인 ‘긍정 표현의 자연형’ 자신의 즐거움을 표현, 희(喜, 기쁨)와 락(樂, 즐거움)의 이미지를 선호. 자신의 감정들을 이모티콘을 통해서 귀엽고 사랑스럽고 애교스러운 모습으로 이상적인 삶을 표현. 제2유형인 ‘의도적 추상 과장형’ 자신의 노(怒, 노여움), 애(哀, 슬픔)감정을 과장되게 표현. 제3유형인 ‘표현의 현실 투영형’ 자신의 감정을 실생활의 구체적 포인트가 담긴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묘사, 희(喜, 기쁨), 노(怒, 노여움), 애(哀, 슬픔), 락(樂, 즐거움)에 맞추어 표정이나 포인트를 강조. 현실 세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자신의 감정들을 실제 생활에서 표현이 가능한 이모티콘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구분된 유형들을 바탕으로 이모티콘 이미지 기호특성을 고려한 컨셉 이미지에 대해서 방안을 제시하였다. KakaoTalk enables online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exchange of texts through smartphones and computer platform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 Kakaotalk users are reflected in the messenger`s emotions. Furthrmore, to analyze the symbolic features of these representat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subjectivity based on value or belief systems.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dentified category were examined. A total of 31 Q samples and 24 P samples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QUALN syste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categories were discovered. The first category, a type of expressing positive expressions naturally, expresses their happiness and prefers joyful and pleasant images. They also represent their notions of an ideal life by expressing their emoticons through cut, lovely, and charming emoticons. The second category, a type of intentional exaggerated abstraction, exaggeratedly expresses their anger and sadness. The third category, a type of reflecting reality in expressions, describes their emotions by using emoticons to represent specific aspects of daily life. Moreover, they emphasize facial expressions and aspects based on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nd show their emoticons as desired through emoticon images that can represent practical lifestyle. Concept based images are then proposed based o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