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치원 교사의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PCK)이 교수 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정빈(Jeong-Bien Kim),홍순옥(Soon-Ock Hong),김형재(Hyoung-Jai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이 반영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그들의 경력에 따른 미술활동 교수 실행의 차이를 분석하고, 유치원 교사의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이 교수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내용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력이 적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 사이에 미술활동의 목표, 미술활동의 유형, 미술활동의 체계, 미술의 요소 및 원리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미술활동 내용교수지식과 교수 실행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사의 내용교수지식이 교수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도

        박선영(Seon-Young Park),홍순옥(Soon-Oc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교수학습을 돕는 콘텐츠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44명이며, 5세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5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해하고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현장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비교적 낮게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은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 · 소집단 활동영역과 생활주제별에 따른 활용과 만족도는 동화 · 동시 · 동극과 이야기나누기, 그리고 우리나라, 봄 · 여름 · 가을 · 겨울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만족도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 and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ultimedia contents of the 5-year-old grade Nuri course teacher s guidebook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contents to help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Busan, and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on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flash among 5-year-old multimedia cont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5-year-old multimedia contents. Second, in the actual field, multimedia contents were used relatively low, and among them, the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flash was more than half of all respondents. Thir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area and the life topic of the group were the most used in the fairy tale, the concurrent, the play and the story sharing, and it is mostly used in Korea and spring · summer · autumn · winter by teachers.

      • KCI등재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박선영(Seon-Young Park),홍순옥(Soon-Oc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배경음악을 활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 지역 유치원의 유아교사 272명이며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는 과반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의 목적은 풍부한 정서발달에 두고 있었으며, 배경음악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개념에 대한 이해에 대한 어려움을 위해 다양한 배경음악의 보급을 가장 필요로 하였다. 셋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 프로그램 개발은 대체로 필요로 하였다. 넷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 프로그램은 주 1~2회, 10~20분의 대집단형태로서 오전 대집단활동 시간에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사전활동, 도입방법, 전개 시 질문기법, 마무리방법, 평가방법, 확장 활동방법이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using background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early childhood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 awareness of childrens appreciation of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performing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were less than half of them. Secondly, the purpose of appreciation of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was to develop rich emo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stematic knowledge and concept of background music, it was necessary to supply background music in various life styles. Third, development of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was generally required. Third, development of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was generally required. Fourth,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is appropriate for the large group activity time of 10~20 minutes one or two times a week and it was necessary to have a concatenated structure of pre-activities, introduction methods, questioning techniques in development, finis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extension activity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