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주간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의 다른 수행 순서에 따른 20대 남성의 신체조성, 신체기능과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대열(Daeyeol Kim),정재관(Jaekwan Jeong),조성채(Sungchae Cho),국두홍(Doohong Kuk),박혁(Hyeok Park),이하얀(Hayan Lee),홍고은(Goeun Hong),황연희(Yeonhee Hwang),김동희(Do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10주간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순서가 다르게 실시한 후 신체조성, 운동수행능력 및 호르몬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 참가자들 (N=30)은 무선할당 방식으로 유산소 운동 후 저항 운동그룹 (n=10, A+R),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그룹(n=10, R+A)과 통제그룹 (n=10, CON)으로 나누었다. 10주간 유산운동(최대심박수 50-80%, 30분)과 저항운동(50-80% 1RM, 30분)으로 순서를 달리하여 주3회 한 회당 총 70-80분으로 운동을 수행하였다. 훈련 기간 전과 10주후에 신체조성, 운동수행능력, 호르몬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신체조성에서 A+R의 골격근량(p=.015)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p=.042), 체지방률(p=.007)은 감소하였다. R+A의 골격근량(p=.001)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p=.003)은 감소하였다. CON은 체중(p=.03)과 체지방량(p=.039)이 증가하였다. 운동수행능력에서 A+R에 유산소능력(p=.011)과 저항성능력(p=.001)이 증가하였고, R+A는 저항성능력(p=.0016)이 증가하였다. 호르몬에서 A+R에 에피네프린(p=.048), 노르에피네프린(p=.013), 코티졸(p=.045)이 증가하였고, R+A는 에피네프린(p=.046)이 증가하였다. CON에서는 인슐린(p=.007)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두 운동 그룹(A+R & R+A)이 통제그룹(CON)에 비하여 우수하고, 그리고 두 운동 그룹 중에서는 A+R이 R+A보다 좀 더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performance sequences of aerobic and strength exercises for 10 weeks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unction, and hormones in males aged in their 20s. A total of 30 subjects (N=30)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n=10, A+R),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n=10, R+A), or a control group (n=10, CON). The different order of aerobic (HRmax 50-80%, 30 min) and resistance (50-80% 1RM, 30 min) exercises for 10 weeks was consisted of 3 times per week and 80 minutes per sessi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unction, and hormon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eriod. The lean body mass (p=.015) was increased and the fat mass (p=.042) and % body fat (p=.007) in the A+R were decreased. The skeletal muscle mass (p=.001) in the R+A was increased and % body fat was decreased (p=.003). The weight (p=.03) and % body fat (p=.039) in the CON were increased. The aerobic capacity (p=.011) and muscular endurance (p=.001) in the A+R group were improved. The muscular endurance (p=.0016) in the R+A was improved. The epinephrine (p=.048), norepinephrine (p=.013), and cortisol (p=.045) levels in the A+R group were increased. The epinephrine (p=.046) level in the R+A group was increased. The insulin (p=.007) level increased in the CON group. In conclusion, both A+R and R+A groups produced superior results to the CON group but the A+R group was slightly more efficient than the R+A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