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도 해안지형의 지질학적 분류에 관한 예비적 연구

        최윤호(YoonHo Choi),고창성(Chang-Seong Koh),현범석(Beom-Seok Hyeon),박원배(Won-Bae Park),박준범(Jun-Beom Park)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최근 한라산을 포함한 고지대로부터 저지대까지 제주도의 지질 특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다채롭게 수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제주도의 해안선을 따라 상세한 지형분류와 더불어 이와 연계된 지질학적 해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제주도 해안지형의 특징을 지질학적으로 표준화하여 분류하고 해석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로서, 제주도 해안지역 중 일부를 선정하여 해안지형의 구성지질과 암상을 토대로 분류한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제주도의 해안지형 유형은 크게 암석해안과 사질해안으로 나눌 수 있다. 암석해안은 해안경사를 기준으로 완만/평탄형과 해식애형으로 구분된다. 완만/평탄형은 대체로 단일 용암단위의 파호이호이 혹은 아아 용암류가 대지를 이루고 있는 해안에서 관찰된다. 해식애형은 치밀질의 아아 용암류 혹은 복합 용암류 또는 응회퇴적층이 두껍게 발달된 해안에서 확인된다. 특히 해식애형은 기저에 수 m에 달하는 크기의 암괴가 쌓여있는 파석대 또는 표면이 매끄럽고 평탄한 파식대를 이루는데, 보통 파석대는 해식애와 동질의 지질특성을 이루는 반면, 파식대는 이질특성을 보인다. 사질해안은 해안선이 만의 형태를 이루는 곳에 해빈지형을 이루고 있다. 구성입자의 입도를 기준하여 모래해안과 자갈해안으로 구분되며, 입자기원에 따라서 육상기원과 해양기원의 사질해안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제주도 해안지형의 지질학적 분류는 향후 해안선을 따라 발달하는 다양한 지하수 유형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