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체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전방십자인대 노화와 관련된 세포자멸사 및 세포증식에 대한 예비조사

        현낙민(Rak Min Hyun),김기원(Ki Won Kim),정서원(Seo Won Jeong),정진화(Jin Wha Chung),이화성(Hwa S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목적: 고령 환자에서 노화에 의한 슬관절 전방십자인대의 세포자멸사 및 세포증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별로 65세 이하는 A군, 66세에서 75세까지는 B군, 76세 이상은 C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술 중 채취된 전방십자인대를 이용하여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방법 및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하였고, 세포자멸사 지수 및 세포증식 지수로 정량화하였다.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세포자멸사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지수는 A군보다 B군에서 높고, B보다 C군이 높았다. 상관분석에서 연령이 1세 증가 시 평균적으로 1.49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선적 양의 관계를 보였다. 세포증식 지수는 A군보다 B군이 낮고, B군보다 C군에서 낮았으며, 연령이 1세 증가 시 평균적으로 1.0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선적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포자멸사 지수와 세포증식 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세포자멸사 지수가 1.0 증가 시 세포증식 지수는 0.45 감소하였다. 결론: 슬관절 전방십자인대에서 세포자멸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자멸사가 증가되고, 세포증식은 감소하였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ging-induced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of ag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ge: group A (≤65 years), group B (66-75 years), and group C (≥76 years). The ACL tissue was obtained intraoperatively and subjected to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to quantify the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dices. Results: Apoptosis occurred in all groups, with the highest apoptosis index found in group C, followed by that in groups B and 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a 1-year increase in age resulting in an average increase of 1.49 in the apoptotic index. The lowest cell proliferation index was observed in group C, followed by that in group B and group A, with a 1-year increase in age resulting in an average decrease of 1.0 in the cell proliferation index, whic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linear correlation. Consequen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dices, whereby an increase of 1.0 in the apoptosis index was concurrent with a decrease of 0.45 in the cell proliferation index. Conclusion: Apoptosis occurred in the ACL of human knee joint. With increasing age, apoptosis increased and cell proliferation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