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간호업무성과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남문희(Moon-hee Nam),허현점(Hyeon-jeom H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 간호업무성과, 행복지수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와 K도에소재한 161명의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2022년 4월 4일부터 4월15일까지 자가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가 인식하는 일과 삶의 균형은 3.29점(5점 만점), 간호업무성과는 3.73점(5점 만점), 행복지수는 3.37점(5점 만점)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는 남성(t=3.608, p<.001), 현 근무부서(F=3.271 p=.023), 월평균 급여수준(F=4.068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의 행복지수는 일과 삶의 균형(r=.591, p<.001), 간호업무성과(r=.396, p<.001)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β=.48, p<.001), 급여수준 400만원 이상(β=.24, p=.01), 301~400만원(β=.23, p=.03), 간호업무성과(β=.20, p<.001), 성별(β=.14, p=.03)가 유의한 변수였으며, 행복지수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7% 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 급여수준 등 외적보상 뿐만 아니라 일과 삶의 균형, 간호업무성과를 높여 행복지수를 높이는 정책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the happiness index of nurses by identifying the work-life balance, nursing performance, and happiness index of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hospital nurse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K province through self-questionnaires from May 6 to May 20,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ork-life balance perceived by nurses was 3.29 points (out of 5 points), nursing performance was 3.73 points (out of 5 points), and the happiness index was 3.37 points (out of 5 points). The difference in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male (t=3.608, p<.001), current department (F=3.271 p=.023), and monthly average salary (F=4.068 p=.01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happiness index of nur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r=.591, p<.001) and nursing performance (r=.396, p<.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index of nurses, work-life balance (β=.48, p<.001), salary level of 400 ten thousand won or more (β=.24, p=.01), 301-400 ten thousand won (β=.23, p=.03), nursing performance (β=.20, p<.001), and male (β=.14, p=.03)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 was 40.7%.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index of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cies that increase the happiness index by improving work-life balance and nursing performance as well as external compen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