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탠리 큐브릭 영화의 미장센적 특이성과 건축 공간과의 비교에 관한 연구

        허이서,장용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hrough exchanges between various fields. Just as many sciences have developed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ciences, there has also been much development in architectural field through linkage with other sciences.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rts, sculpture and music in the field of art. However, because the architecture relies heavily on the sense of sight including movement, not the simple sense of perception, it is hard to find any connection with many other sciences. In this respect, the film is easily compared with architecture, because it is an art that includes both time and space and perceives time and space through “movement.” Both film and architecture are expressive arts of space, and they create a psychological effect for audiences and users through space. In addition, the imagery experience is already indispensable for experiencing modern architecture because of physical distance and time constraints.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a new visual approach to the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film mise-en-scène, which includes both the elements of dynamic movement and the static formative language. Mise-en-scèn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imilar film theory to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 because it has an imagery characteristic and continuously shows the spatial sense of the screen in one shot. In addition, the cultural art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a space where the culture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deology of the architect are well revealed. Like a film is recognized as one of the artworks, an architectural space built for culture and art looks like a big artwork.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irst conduct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mise-en-scène, an expression of the space which creates the psychological effect in movies. Next, we will find the peculiarities of the mise-en-scene by analyzing the mise-en-scène directing technique of the Director Stanley Kubrick, who is skilled in the visualization of narrative, and seek for a possibility of new visual approach for those who experience architectural spaces through comparison with culture and art spaces in m architectures. 급변하는 현대 사회는 다양한 분야 간의 교류를 통해 발전하고 있다. 많은 학문들이 타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발전하듯이 건축 분야에서도 타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 중에서도 예술 분야와 관련하여 미술, 조각, 음악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건축물은 단순한 지각적 측면이 아닌, 움직임이 포함된 시각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다수의 앞선 학문들과의 연결 관계를 찾는 것에 한계가 드러났다. 그 중 영화는 시간과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예술이며 ‘움직임’을 통해 시공간을 지각한다는 측면에서 건축과의 비교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화와 건축은 모두 공간의 표현 예술이며 이를 통해 관객과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현대의 건축을 경험하는 방식은 물리적 거리와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이미지적인 경험이 필수불가결하다. 이에 동적 움직임의 요소와 정적 조형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영화 미장센을 통해 건축 공간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접근 방법에 대해 찾고자 한다. 미장센은 이미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숏에서 화면의 공간감을 연속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건축 공간의 경험과 가장 유사한 영화 이론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화에서 심리적 효과를 창출하는 공간의 표현인 미장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내러티브의 시각화에 능통한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이라는 감독의 미장센 연출 기법을 분석하여 특이성을 찾고 건축 공간과의 비교를 통해 건축의 공간을 경험 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접근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 연구

        허이서,이하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ccurrence of phenomenological space is to explains design principles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of how we can perceive, understand, explain, and describe the constantly changing concept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this process, it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the specificity of ceramics, to suggest directions for interpretation of works, and finally to broaden the basi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ceram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To explore the new spatial concept and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ceramics based on Maurice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we us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ceramics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By adding Gilles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and haptic space concept, it is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of artists who are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viewers who are the subject of acceptance, and separately explains the phenomenological space occurring on both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the work. As a case study,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ccurrence by expression based on physicality and occurrence in haptic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eramic art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re based on physical perception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essence of the world in comm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work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eramic art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is suitable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new spatial concept of contemporary ceramic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independent status of ceramic art, which had been blurred by borrowing interpretations from other media, will be restored, and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broaden the concept of ceramics in the future production of actual 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도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 개념을 우리가 어떻게 지각하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기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현상학적 공간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의 독자적인 조형적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예의 특수성에기반한 발전적인 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작품 해석의 방향을 제안하며 최종적으로는 도예의표현과 감상의 지반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과 조형적 표현 방법들을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신체 현상학에 근거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 간의 상관성을 밝히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과 촉지적 공간 개념을 더해 작품과 얽혀 있는 표현 주체인 도예가와 수용 주체인 관람자의 입장으로 나누어 작품의 표현과 감상 양측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사례연구는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신체성에 기반한 표현에 의한 발생과 촉지적 공간에서의 발생으로 방식을 나눠 작품에 적용하여세부적으로 분석을 진행해 현대도예 작품 속에서 보이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본다. 연구의 결과, 도예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공통적으로 세계의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함에 있어 신체적지각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의 상관성에 기반을 둔 작품해석의 방향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확인했다. 이를통해 다른 매체의 해석을 빌려 희미해졌던 현대도예의 독자적인 지위를 회복하고 앞으로 실제 작품의제작에 있어 본 연구에서의 논의가 도예라는 장르의 개념을 넓혀주는 이론적 배경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