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 리모트 포인팅 실험: 피츠의 법칙을 통한 평가

        박재완(주저자) ( Park Jaewan(주저자) ),허룡(공동저자) ( Long Xu(공동저자) ),이상원(교신저자) ( Lee Sangwon(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피츠의 법칙을 활용한 리모트 포인팅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속도의 관계를 설명하는 피츠의 법칙과 메켄지의 수식을 토대로 사용자의 행동과 속도, 정확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의 실험 설계는 목표물을 직접 선택하였지만, 본 연구는 가상현실 컨트롤러에서 나오는 레이저빔을 통해 멀리 있는 사물을 선택할 때 사용자 행동에 따른 속도 관계를 실험하고 목표물의 크기를 5가지 수준으로 변화를 주었다. 실험 결과로 첫째, 가상현실에서 리모트 포인팅 시 목표물의 수준에 따른 선택 실패율을 도출하였다. 둘째, 컨트롤러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손 떨림 현상에 따라 필요한 추가 인지 시간을 선택 확정 시간(Selection Confirmation Time, SCT)이라 정의하고 가상현실에서 적합한 목표물의 크기를 도출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본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여 본 실험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가상현실에 사용자의 인지체계와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디자인 원리 실험으로 본 논문의 결과물을 통하여 사용자의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작 및 디자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remote pointing evaluation experiment using Fitz's law to help design interfaces in virtual reality. The experiment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user behavior, speed and accuracy, based on Fitts' Law and Mackenzie's formula. While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previous study directly selected the target, this study experimented with the speed relationship according to user behavior and changed the target to five levels when selecting distant objects through laser beams from virtual reality controller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election failure rate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rget when pointing to the remote in virtual reality. Second, additional cognitive time required to focus on small targets was defined as the Select Confirmation Time (SCT), and the suitable target size was derived for virtual reality. Third, we examined validity of this experimental data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ith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hope that experiments with basic design principles to understand the user's cognitive system and behavior in virtual reality will help the user create and design an efficient user inte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