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 한국인의 치아 계측치를 이용한 남녀판별함수 분석

        문형순(Hyung Soon Moon),허경석(Kyung Suk Hu),박선주(Sun Joo Park),김희진(Hee Jim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5 No.1

        간추림 사람뼈를 발굴했을 때 치아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상 가장 잘 남아있어 남녀 구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성별이 확실한 성인 석고모영 215개(남자 109개, 여자 106개)와 시신 166구(남자 127구, 여자 39구)를 대상으로 치아머리의 안쪽먼쪽너비 (mesiodistal diameter of the crown)와 얼굴쪽혀쪽너비 (faciolingual diameter of the crown)를 계측하였다. 이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측값만을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통한 판별함수를 도출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판별함수는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사람뼈에 적용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를 여러 가지 조합으로 하여 51개의 함수를 얻었다. 이 중 통계적으로 유용한 함수는 34개로 64.5-89.8% 의 판별력을 보였고, 17개의 함수는 Box’s M값과 Wilks’ Lambda 값에 의해 판별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이 중 남녀판별력과 전체 판별력이 높은 8개의 함수를 검정해 본 결과 62.8-84.6% 의 판별력을 얻었다. 이들 함수 중 가장 높은 판별력 을 보여주는 것은 아래턱 치아 전체를 이용한 경우이고, 아래턱 송곳니만을 이용한 항수는 가장 많은 재료에 적용시킬 수 있어 그 유용성이 높다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