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중학교 과학 생명 영역의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 개발

        함어진 ( Eojin Ham ),정은영 ( Eunyoung 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중학교 과학 생명 영역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Ellis & Brewster의 스토리텔링 모형에 근거하여 학습 자료의 초안을 개발하였고, 생물 교육 전공자들의 검토를 거쳐서 수정·보완하였다. 이 자료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학습 자료를 완성하였다. 또한 개발한 자료에 대하여 중학교 과학 교사 28명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 자료는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생명 영역의 5개의 단원에 대하여 각각 2개씩 총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광합성`` 단원에서는 ``식물로의 여행``이라는 주제로 가상 상황을 제시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고, ``소화·순환·호흡·배설`` 단원에서는 ``체육대회``라는 주제로 우리 몸의 각 기관들을 등장인물로 설정하여 시나리오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인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콩쥐 팥쥐 이야기를 과학 개념과 연결하여 재구성하였다.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는 정자와 수정란을 주인공으로 하여 아기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하였고, ``유전과 진화`` 단원에서는 멘델과 다윈의 일화를 일기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 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을 살펴본 결과, 중학생의 학습 동기나 흥미 유발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4.16, 학교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7로 나타났다. 그리고 28명 중에서 23명 이상이 본인 수업에서 이 자료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는 대단원의 주요 학습 내용을 다루면서 단원별로 다양한 소재와 형식으로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고,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in life area of middle school science applying storytelling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on science. In order to do this, the draft of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torytelling model of Ellis & Brewster, and revised through the review of biology education majors. The pilot test of this materials were implemen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n the result was reflected to complete the learning materials. In addition, 28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surveyed to get comment on the developed materials. The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the contents on life area of middle school science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Photosynthesis`` unit, the story is constructed that the students go into the plant by the bus and observe the structure of the plant and the process of photosynthesis. In the ``Digestion·Respiration·Circulation·Excretion`` unit, the story is constructed on the form of scenario that the organs of human body are characterized and talk about the change after running or lunch. In the ``Stimulus and Response`` uni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Kongjwi and Patjwi, which are Korean fairy tales, are reconstructed by connecting with scientific concepts. In the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unit, the story is constructed on the process that is from the sperm and egg to the baby, with characterizing the sperm and fertilized egg. In the ``Heredity and Evolution`` unit, the story is constructed on the form of diary including the anecdotes of Mendel and Darwin. The result of teachers` response is as follows. In the respect of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on science, the score is 4.16, and in that of appropriateness to apply in an actual class, the score is 3.97. And more than 23 teachers are willing to use these materials. In conclusion, the storytelling based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improve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