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C 전략을 통한 패션 & 뷰티 분야의 아트 콜래보레이션 상호 연관 분석

        한정아 ( Han Chung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소유보다 접속과 공유가 중요한 네트워크 시대에, 글로벌 기업들은 21세기형 비즈니스 모델로 하이 컨셉인 `콜래보레이션`을 선택하고 있다. 성공하는 기업은 통합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로 인지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아트 콜래보레이션 전략은 새로운 기술력 없이도 기존 제품에 새로운 예술 디자인을 접목함으로써 제품을 디자인 관점에서 차별화하여 현재 시장의 포지션을 강조하고 그 분야에서의 위치를 굳건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잠재고객 발굴이 아닌 두 브랜드의 기존고객을 공유하는데 의미를 두고, 체계적인 IMC와 아트 콜래보레이션을 통해 편안함과 호감을 증가시키며, 소비자를 획득, 유지, 증가시키며 제품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더욱 친숙하게 하고 있다. IMC의 차별화된 일관성으로 각기 다른 브랜드간의 상호 긴밀함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동참으로 서로의 마케팅을 상승시키며 효과적인 아트 콜래보레이션이 가능하다. 그 중 차별화될 수 있는 독창성과 최근 소비자의 감성이 중요시되면서 `재미`는 매출 구매의 중요한 척도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트 콜래보레이션 제품에 `재미`를 가미하는 것은 소비자 관심과 매출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유사하거나 동류의 뷰티& 패션 콜래보레이션의 조합은 브랜드 결합에 있어서 파트너 선정이 브랜드 이미지 결정과 콜래보레이션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뷰티 및 패션브랜드와 아트 콜래보레이션에 관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 콜래보레이션은 소비자의 연령층을 다양화하며 예술적이고 심미적이면서, 독창성과 더불어 재미있는 요소를 원하는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호기심과 흥미유발로 재미 요소를 가미해 소비자에게 매출 및 인지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Art collaboration is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brand images in the aspect of uniqueness, fun, and interest in the fashion and cosmetic brands. Because it is relatively new, art collaboration seems to have lessened the effect regarding aptitude and favoring prefere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hange people`s understanding of art collaboration though advertisement or promotions with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such as PR, direct marketing, personal selling, sales promotion, or relationship marketing in the fashion and cosmetic brands establishing the IMC strategy of Collaboration through the related article search and case studie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es in the fashion and cosmetic brands. Art collaboration includes the visual expression factors of brand identities as standard and suggests a practical direction based on experimental researches in the fashion and cosmetic brands. The art collaboration brand is related to people`s attitud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IMC has been analysed in four dimensions, in terms of its aptitude, uniqueness, interest, and preference. The brand effect is also another significant factor regarding brand attitude which follows focused IMC directly to the expressive art collaboration and the existing brand attitude. IMC is shown by the positive attitude and the brand image preference of the manufacturing company is more increasing.

      • KCI등재

        대학생의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

        한정아 ( Han Chung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0 No.-

        색채는 감성과 심리적 공통의 정보를 상징하기도 하며, 개인의 환경이나 경험에 따라 사적인 정보를 지닌다. 개성의 시대에 자신을 표출하는 뷰티 및 패션 코디네이션 색채는 그 시대의 보편적인 유행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하여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뷰티와 패션에 분야에서 특히 스타일과 연관된 색채의 비중은 대단히 크고, 특히 시각에 호소하는 힘이 강하다. 또한 상품, 형식의 성격이나 유행, 이미지 등을 강하고 힘있게 효과적으로 표현가능하다. 색채는 성별, 연령별, 전공별, 선호 색채와 선호 스타일에 따라서 차별적인 인식과 접근이 다양하기에 안전성과 감성을 고려한 색채 선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에 관한 논문이다. 색채 선택의 요인 중 색채 활용도와 민감도로 구분되며, 색채 선택의 민감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성별 특성은 여성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특성은 20세 이하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고, 전공계열에 따른 특성은 예체능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학 계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채계열과 톤은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톤은 회색을 가미한 탁색 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외형적 스타일이 캐주얼, 모던한, 내추럴인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외형적 스타일이 여성적인 경우에는 중성색계열, 남성적인 경우에는 한색계열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호하는 여성 스타일이 캐주얼인 경우에는 난색과 중성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모던한, 여성적, 로맨틱, 내추럴의 여성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남성 스타일 역시 무채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isual Image is revealed the expression of the color & coordination style is composed by the characteristic preferring color consideration of the modern various cultural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impacts from the representing personality, conformity processes, and system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visual trend such as color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various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The choices are impact on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such as color and coordination style through the selecting preference colors and fashion styl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differences of age, gender, major, or preferring tastes. The Colors of personal image expression are the most effective visual factors for showing oneself and personality to communicate with style. Color is the most powerful tools in showing the visu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mage making and self-image expression The empirical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of color & coordination style relevance application between color and style perception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This questionnaire presents preferring neutral color tone for necessary tools of useful color selection related many different styles which help to improve relevance color selection.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selection through relevance the color& tone compared to the color sensitivity and color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color and tone. It can be presented to analyze the color & tone`s preference the recent and future technical style tendencies of related color planning beauty and fashion industry including domestic and global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s the main consumers. This thesis will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or selection and style designs based on the important color and tone related to the likeness sty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visual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