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바라 구니요시(小原国芳)의 전인교육론 연구

        한용진(Hahn, Yong-Jin)(韓龍震)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전인교육이라는 용어가 갖는 개념적 혼란함을 줄이기 위한 목적에서, 한자로 전인교육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오바라 구니요시(小原国芳: 1887-1977)의 ‘전인교육론’을 통해 그가 생각하는 전인교육의 개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은 그 자체가 전인교육이어야 하지만, 한자로 된 ‘전인교육’이라는 단어는 일본 다이쇼기(大正期)인 1921년 8월 8일에 발표된 이른바 ‘8대교육주장’의 하나로, 오바라 구니요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둘째, 전인교육의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제안한 <표2>는 코메니우스의 ‘총체적 문화인’을 양성하기 위한 삼원론을 토대로 교육내용으로 모든 것(Omnia), 교육대상으로서 모든 요소(Omnes), 그리고 교육방법으로서 포괄적․완전히(Omnino)라는 세 가지 관점을 담고있다. 셋째, 오바라의 전인교육론의 핵심 가치는 초기에는 진선미성(眞善美聖)만을 강조하지만, 후기 저작인 『전인교육론』에서는 진선미성(眞善美聖)의 절대가치와 건부(健富)의 수단 가치 등의 여섯 가지 기본 가치를 제안하고 있다. 넷째, 이러한 오바라 전인교육론의 특징은 ① 완전인격으로서 전인격적(全人格的), ② 평생교육으로서 전인생적(全人生的), ③ 지정의와 심신의 조화라는 면에서의 전인성적(全人性的), 그리고 ④ 궁극적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성적(聖的)․종교적 지향성을 들 수 있다. 결국 그의 교육론은 1920년대 일본의 다이쇼신교육운동의 통합적 인간상이라는 실천 원리에서 출발하여, 그가 1929년에 설립한 다마가와학원(玉川學園)을 통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The term whole-person education is used frequently in everyday life and is thought to be familiar to us, but its meaning is not clearly defined. In order to reduce the conceptual confusion of the term, I will examine and review the Obara Kuniyoshi (1887-1977) who first used the term Zenzin-kyouiku(whole-person education) in Chinese letter. His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is one of the so-called ‘eight major educational theories’ published in 1921 as part of the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in Japan.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should be a whole person education in itself. Second, it i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whole person education is based on the ternary theory of Comenius’ cultivating ‘total cultural person’. In other words, it includes Omnia as an educational content, Omnes as an educational object, and Omnino as an educational method. Third, the core value of Obara’s early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only emphasizes true-goodness-beauty and saint, but in his later work(Obara, 1976), there are six basic values suggested, four absolute values such as true-goodness-beauty and saint, and two instrumental values such as health and wealth.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of Obara are ① whole personality as perfect character, ② whole life as life-long education, ③ whole human nature as harmony of body and mind, and ④ saint and religious education as the ultimate core. In the end, Obara’s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aimed at the integrated personality based on the Japan’s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in the 1920s, and continues to this day through the Tamakawa Gakuen, which he founded in 1929.

      • KCI등재

        사와야나기 마사타로(沢柳政太郎)의 교육실천 고찰: 「실제적 교육학」과 세이죠학원의 신교육운동을 중심으로

        한용진(韓龍震)(Yong-Jin Hahn),조문숙(趙文淑)(Moon-Sook Jo)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この研究の目的は明治期と大正期の代表的教育者である沢柳政太郎の教育実践を彼の著書実際的教育学(1909)と成城学校での新教育運動に注目して調べることにある。 本研究の結論は次の通りである。第一に、沢柳は明治期の文部省官僚経験をもとに実際的教育学を著述し、大正期には様々な民間教育関連機関の会長を務め、私立成城小学校の設立のを通じて自らの教育観を実践した。第二に、実際的教育学の登場は観察と実験の實證主義的方法論の必要性を提起したことで、既存の教育学理論に対する批判を通じて海外教育学を紹介する移入教育学時代から抜け出し、自立的 教育学研究時代を開く試金石となった。第三に、彼が実際的教育学で言及した教育学の対象が初等普通教育に限定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は、1920年代欧米教育視察の以降中等敎育段階に広げた。第四に、成城小学校における彼の新教育実践は、公立学校ではなく私立学校を中心としたものであり、「創設趣意」でいう①個性尊重、②自然親和的教育、③心情の教育、④科学的研究に基づく教育などは大正新教育運動の特徴をよく示すものである。第五に、彼の教育観は聖職者的教師論を基盤に「教育勅語」を信奉しようとする限界にもかかわらず、教授方法では自学・自習・自治・自律を提示してい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Masataro Sawayanagi, a representative educator in the Meiji and Taisho eras, through the analysis of his book Practical Pedagogy (1909) and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at Seijo schoo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wayagi wrote Practical Pedagogy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bureaucra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Meiji period and as chairman of variou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the Taisho period. Second, the emergence of Practical Pedagogy raised the need for a positivist methodology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was a touchstone for ushering in an era of independent educational research, breaking away from the era of imported pedagogy. Third, the argument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 he mentioned in Practical Pedagogy should be limited to elementary education was expanded to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after the inspections of Europe and America in the 1920s. Fourth, his new education practice at Seijo Elementary School was centered on private schools rather than public schools.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includes: ① respect for individuality; ➁ nature-friendly education; ➂ emotional education; and ➃ science-based education. Fifth, despite his limitations in trying to follow the "Imperial Edict on Education" based on the doctrine of clerical teachers, his teaching method emphasizes self-learning, self-study, self-governance, and self-discipline. 본 연구는 메이지기(明治期)와 다이쇼기(大正期)의 대표적 교육자인 사와야나기 마사타로(沢柳政太郎: 1865-1927)의 교육실천을 그의 저서인 『실제적 교육학』(1909)과 세이죠학교에서의 신교육운동에 주목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와야나기는 메이지기의 문부성 관료 경험을 토대로 『실제적 교육학』을 저술하고, 다이쇼기에는 다양한 민간 교육관련기관의 회장을 맡으며, 사립 세이죠소학교의 설립을 통해 자신의 교육관을 실천하였다. 둘째, 『실제적 교육학』(1909)의 등장은 관찰과 실험의 실증주의적 방법론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기존 교육학 이론들에 대한 비판을 통해 해외교육학을 소개하는 이입교육학 시대에서 벗어나 자립적 교육학 연구 시대를 열어주는 시금석이 되었다. 셋째, 그가 『실제적 교육학』에서 언급한 교육학의 대상이 초등보통교육에 한정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1920년대 구미 교육시찰 이후에는 중등교육단계로 확장되었다. 넷째, 세이죠소학교에서의 그의 신교육 실천은 공립학교가 아니라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창설취의(創設趣意)」에서 말하는 ①개성존중, ②자연친화적 교육, ③심정의 교육, ④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교육 등은 다이쇼 신교육운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그의 교육관은 성직자적 교사론을 기반으로 「교육칙어」를 신봉하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교수방법에서 자학(自學)・자습(自習)・자치(自治)・자율(自律)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