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캐폴딩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발달장애 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순영 ( Han Soon Yeong ),김우리 ( Kim Woor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캐폴딩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발달장애 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 3명이며,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3가지 하위범주인 이해(접근/수용), 표현(생산), 소통(참여/유통)에 기초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내용을 선정하였고, 발달장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스캐폴딩 전략을 활용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실과와 정보통신 활용 교과의 내용으로 구성된 과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중재 단계에서는 스캐폴딩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주 3-4회 실시하였고 중재 종료 2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가 끝난 후 지식정보처리 역량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결과를 기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캐폴딩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발달장애 학생의 지식정보처리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점수의 평균이 향상되었고, 효과크기는 100%로 높은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중재 종료 후에도 높은 수준에서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능동적으로 정보를 수집, 처리,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multiple probe across subjects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included activities based on sub-categories of digital literacy, Understanding, Creating, and Communicating, and those activities were conducted using scaffolding. In the baseline phase, the students worked on tasks in pract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s without any intervention. They worked on similar tasks receiving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in the intervention phase.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hree to four times a week.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est were administered after each s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ir mean scores on the 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an in the baseline phase. The effect size was 100%. This study proved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abilities to collect, manage, and use information with intervention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 동향 :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한순영 ( Han Soon Yeong ),김우리 ( Kim Woori ),유용석 ( Yoo Yongse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및 훈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0편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연구가 2010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업능력과 학습태도를 고루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웹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업,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에서 시각자료리터러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에 따라 특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을 이용한 정보 검색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정보리터러시 역량이, 네트워킹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사회정서리터러시 역량이, 게임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수업에서는 실시간사고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리터러시 훈련은 논문에서 제시하지 않거나, 단순히 스마트기기 사용 절차를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스마트러닝과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learn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literacy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0 studies met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engagement. Second, in terms of smart learning usage types,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using the Web and network technologies, and augmented reality. Third, regarding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for smart learning, the photo-visual digital skill was required in all studies. In addition, specific digital literacy skills were required depending on each smart learning usage type. The smart learning using the Web corresponded to the information literacy, those using network technologies to the social-emotional literacy, and those with game-based applications to the real-time literacy. However, training of digital literacy skills, except simple guidelines on using smart devices, was lacking in th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smart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