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곡식 부소산성 축성의 다양성

        한병길(Han, Byung-Geel)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5 No.-

        초창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고고학은 패턴을 찾아 유사한 것까지 분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형식분류가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있다. 패턴을 만들어내야 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발굴조사된 10개 성벽구간의 축성법을 축기, 체성, 부대시설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포곡식 부소산성에서 동일한 형태와 규모의 구간은 없었다. 축성 이전에 백제 조정에서 부소산 주변의 지세와 여건을 감안하여 축성규식을 마련해 성역소에 내려주었으나, 축성과정에서 당시의 지세와 처해있는 맥락에 따라 담당고을 고유의 축성전통과 그때그때 축성 감관과 역군의 에이전시가 개입되어, 규식과 달리 구간마다 다소 다양하게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그동안 판축토루라고 알려져 왔지만, 토축을 위주로 하되 석축하기도 하고 토축과 석축의 방식도 구간마다 다소 다르다. 성벽의 너비는 510cm내외~1135cm이상으로 다양하고, 축기의 너비도 360cm이상~1050cm이상으로 다소 유동적이거나 생략되었다. 체성의 너비는 500cm~690Cm로 다소 달랐고, 내측보축은 340cm와 500cm로 축조되거나 생략되었다. 배수로는 너비 30~120cm로 융통성있게 시설되거나 생략되었고, 외측보축도 너비 180cm이상~400cm이상으로 다소 다르게 부가되거나 생략되었다. 세장방형의 석축과 장방형의 토축으로 설치된 치도 규모와 축성방식이 다르다. 체성외측에 일정한 너비로 구를 파고 목주를 세워 축조하는 것이 규식이되 체성내외측에, 체성중에만, 치성외측에 55~130cm로 다양하게 파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했다. 지금 25cm내외와 40cm내외의 목주를 간격 130cm내외로 세우는 것이 규식이되, 지름 20~35cm와 45~50cm의 목주도 간격 100~160cm로 불규칙하게 세워졌다. 지름 20cm내외와 25cm내외의 횡장목, 15cm내외와 20cm내외의 종장목을 간격 130cm내외로 목주와 가구시키는 것이 규식이되, 횡장목은 20~22cm와 25~30cm의 각목과 원목, 종장목은 15cm와 20~25cm의 원목을 간격 120~130cm로 불규칙하게 설치하거나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Though archaeology has taken as its basis putting together similar things for classifying patterns,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such typological method could not be appli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chniques used in the fortification of 10 excavated rampart block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round layout, ramparts, and additional structures, we can find out that in the valley encircling type fortification of Busosanseong, every block is different in form and scale. It seems that though the Baekje government dictated the established rule for fortification to the command post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circumstances of the Mt. Buso area, in actuality each block was construc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herent tradition of each county in charge and agency of supervisors and workmen being interfered with encountering topographical and/or contextual variations. The wall of Busosanseong was known to have been constructed by earthen filing technique, but some sections were constructed either by the earthen filing of stone accumulating technique, though the former was practiced as the main technique. Accordingly width of different sections of the wall are varied in between about 510cm and more than 1135cm. In relation with this, the width of the ground layout also varies in between 360cm and more than 1050cm. The width of the rampart varies in between 500cm and 690cm, and the width of its inside additions varies in between 340cm and 500cm, or omitted in some section. The width of water outlets ranges in between 30 and 120cm or omitted in some locations, and the width of outside additions ranges in between 180cm and more than 400cm, or partly omitted. The bastions, which were formed by stone as well as earthen filing, also show similar variations in scale and fortification methods. Despite the construction rule of log hole digging in a regular width on the outside of the rampart, hollows were dug in the width of 55-130cm on either the inside and outside of, or even in the middle of the rampart, or even omitted. Furthermore, despite the rule requiring pole logs of 25cm and 40cm in diameter that mush be set up at 130cm interval, the logs used are 20-35cm and 45-50cm in diameter, and were set up irregularly at the interval of 100-160cm. And the rules ordered that crossway-long logs of about 20cm and 25cm in diameter and length-long logs of about 15cm and 20cm in diameter must be assembled with pole logs at intervals of about 130cm, the crossway-long logs of 20-22cm and 25-30cm in diameter, and the length-long logs of 15cm and 20-25cm in diameter were used. And they were constructed irregularly at intervals of 120-130cm or omitted.

      • KCI등재

        백제성곽 자료해석에 대한 이론적 담론

        한병길(Byung Geel Han)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6 No.-

        우리의 연구대상인 과거문화는 복잡하고 유동적이어서 객관적으로 명백히 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과거사실은 과거의 인간행위, n-변형, c-변형, 오늘날의 인간행위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고고학자가 글을 전개하는데 사용하는 論法, 도면, 모델이 독자를 현혹시켜서 과거사실을 그럴듯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백제성곽을 연구할 때 백제시대의 성곽만 다루고 통일신라·고려·조선의 성곽은 연구대상에서 배제됨으로써, 백제와 통일신라·고려·조선의 성곽은 서로 무관한 듯 단절된 역사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 전통성을 우리 스스로가 잘라버려, 우리와 상관없는 이방인으로서의 백제를 연구하게 된 것이다. 왜곡된 백제성곽연구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특수역사적 상관유추(特殊歷史的 相關類推)를 통해 논리를 전개해나감과 동시에 은유(隱喩), 환유(換喩), 제유(提喩), 반어(反語)를 써서 記述해야 과거사실 해석의 개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아날학파의 다척도 시간개념, 구조화이론을 제시한 기든스의 에이전시 개념, 호더의 맥락적 접근을 통해 끊임없는 해석나선(解釋螺旋)속에서 변증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문헌사료와 고고학자료에서 나타나는 장기간 연속성을 파악하여 백제·통일신라·고려·조선을 연결시킴으로써, 과거 백제인과 오늘날 우리 사이의 시간적 갭을 메우는 것이 백제성곽연구의 선행과제이다. Archaeologist can't objectively tell the past culture, the object of one's study, owing to it's complexity and fluidness. The past fact could be falsified by past human action, n-transformation, c-transformation, and present human action. We can make readers misleading and the fact plausible using arguments, charts, and models when we write a paper. Also, castle and citadels of Baekje, Late Silla, Koryo, Chosun have been treated as if they were no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because we excluded those of late Silla, Koryo and Chosun from the object of study. We have seen Baekje people as a stranger not correlated with us, due to our cutting off historical tradition from Baekje by ourselves. One should describe one's text on specific historical relational analogy with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and irony for correct distorted Baekje's castles and citadels, if we want them factual. Also, we have to interpret dialectically in a continuous hermeneutic spiral using Annales School's three different time scale, concept of agency suggested by Gidden's structuration theory, and Hodder's Contextual approach. By connecting Baekje, Late Silla, Koryo and Chosun with one another to find out long-term continuity in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records, we can fill up a time-gap between past Baekje people and contemporary us. Tha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tudy of Baekje's castles and cita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