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 비교분석

        학원상(HAO YUANXIANG),김종욱(Jong-Wook Kim),김진수(Jinsoo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을 비교 · 분석하여 한국 일반고등학교 기술교육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비교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는 문헌 자료의 비교에 기초한 서술적 연구의 형식을 갖추었고, 비교 연구는 Hilker와 Bereday의 비교 교육 모형을 근거로 기술, 해석, 대치(병치), 비교의 형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세부내용은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평가를 비교 ·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과정 비교 · 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이 한국보다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육의 위상과 중요성이 더 크고 시간 배당이 많았다. 둘째, 중국의 기술과 교육이 한국보다 졸업 및 수능시험에 반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중국의 기술과 평가는 지필시험과 비지필시험을 결합한 학업성취시험 체계를 구축하여 효과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기술과 시수 확보 및 평가 사례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중국과의 학문적인 교류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to obtain implications that may have an effect on the vitalization of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method used literature and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has a form of descriptive research based on comparison of literature data, and comparative research uses the form of description, interpretation, substitution(parallel), and comparison based on the comparative education model of Hilker and Bereday. The detailed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and evaluation presented in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were greater in China than in Korea, and time allocation was higher. Second, the proportion of Chinese technology and education reflected in graduation and SAT examinations were higher than in Korea. Third, Chinese skills and evaluations were effectively evaluated by establishing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system combining paper test and non-paper test.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more detailed research is needed on the case of securing and evaluating technology and time in China, and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academic exchange with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학원상(YUANXIANG HAO),김지민(Ji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에 개정된 중국의 국가교육과정 중에서 초⋅중학교의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실과(기술⋅가정) 교육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위하여 문헌 연구(literature research) 방법의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즉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분석 틀(성격, 목표, 내용 체계, 평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변천,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의 전체 구성 및 본문의 부분 각각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중국의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 체계의 위계성, 연결성, 일관성을 중심으로 편제⋅운영되어 있다. 둘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목표는 노동(기술)에 관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함양하고, 직업⋅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중국의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내용 체계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을 바탕으로 ‘일상생활노동’, ‘생산노동’, ‘봉사적 노동’으로 구축되어 있다. 넷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교수⋅학습 방법은 노동 프로젝트 기반과 노동주(勞動周)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다섯째, 중국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의 평가는 학습자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노동 과목의 핵심 소양을 중심으로 학년(군)별로 하고 있다. Objectives The study was analyzing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China in 2022, hoping to get enlightenment from the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hina. Methods The content analysis of literature study method for this study was used. Results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hina,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docum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and various parts of the text. Finally, through the comparis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enlightenment is drawn. Conclusions First,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centered on the hierarchy, cohesion and coherence of its nature, goal and content system. Second, the goal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to cultiv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labor(technology), and it also emphasizes starting from the professional and ideological levels. Thirdly, the content system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is “daily life labor”, “productive labor” and “service labor” based on Marx's labor theory of value. Four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are based on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Lao Dong Zhou” and labor projects. Fifthly, the evaluatio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hina takes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and is carried out in grades (groups) around the core literacy of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