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노물질 등록을 위한 국내 물질확인 사례 연구

        하현규(Hyungyu Ha),김상헌(Sanghun Kim),전현표(Hyunpyo Jeon)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나노물질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맞춰 물질확인 및 안전성 확보의 요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나노물질은 나노단위의 작은 크기와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일반 화학물질에 비하여 반응성이 높을 뿐 아니라 인체와 환경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해당 나노물질의 조성과 구조에 따라 물질의 유해성 및 위해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2019년 개정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에 따라 2030년까지 톤 수에 따른 화학물질의 등록을 완료하여야 하며, 이 등록예정 물질에는 나노물질도 포함된다. 나노물질의 등록을 위해서는 화평법에서 제시한 공동등록시스템에 따라 등록을 준비하여야 하며, 공동등록의 과정에서 화학물질의 동질성을 판단하기 위해 물질확인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물질확인 과정에 대한 인프라의 부족과 시험방법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SIP(Substance Identification Profile)의 작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물질의 정확한 물질확인을 위해 국내에 위치한 4곳의 기관에 Ag nanoparticles, TiO2(nano)의 구조 및 순도, 불순물에 대한 분석, 나노물질의 특성인 크기, 형태, 종횡비, 표면전하에 대한 분석을 의뢰하여 라운드 로빈 테스트를 진행함으로써 획일화되고 신뢰성있는 시험방법을 개발하여 화평법하에서의 나노물질 등록 지원 및 물질확인방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TiO2와 Ag nanoparticles의 화학조성, 순도 및 불순물, 나노물질 특성이 각 기관마다 결과와 전처리 및 시험방법, 시험에 사용된 기기들이 상이하였고, 물질확인을 위한 체계적인 시험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나노물질을 포함한 단량체, UVCB 물질, 고분자물질의 체계적인 등록 및 관리를 위해서 물질확인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시험방법의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