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인식과 화용 습득 : 요청 화행의 공손성 인식을 중심으로

        하지혜(Ha Jeehy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문화 간 감수성과 화용 습득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문화 간 감수성을 요인별로 측정하고, 화용 습득을 알아보기 위해 요청 화행의 공손성 인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문화 간 감수성 요인 중에서 상호작용 자신감과 상호작용 주의도 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청 화행의 공손성 인식을 측정한 결과, 간접 전략 중에 학습자들이 한국인들과 다르게 인식한 것들이 있었다. 특히 문화 간 감수성이 낮은 학습자들은 이 간접 전략을 더 잘 이해하지 못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화용 습득을 위해 문화 간 감수성을 향상시켜 줄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상호작용 자신감과 주의도 향상에 유의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는 타문화에 대한 인식 연구의 필요성 제고하였고, 기존의 화용 습득 연구가 배제하였던 문화적 변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pragmatic learning to improve Chinese learners’ ability to communicate in Korean. To accomplish this,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politeness in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pragmatic learning. As a result, among the factor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perception of learners’ interactive confidence and interactive awareness were observed to be low. The results obtained by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peech request politeness revealed that learners understood some aspects among Korean speakers indirect strategies differently. Particularly, learners with low intercultural sensitivity understood this indirect strategy less. These results highlighted the need to improv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specifically, learners’ interactive confidence and awareness were confirmed as factors for improvement in pragmatic learning.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other cultures. The finding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analyzed cultural variables that previous studies on pragmatic learning had ex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