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자율적-통제적 동기유발과 중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하선형 ( Sunhyung H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학생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자율적-통제적)과 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4개 중학교 578명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반면 교사의 통제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율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셋째, 통제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통제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강화요인으로, 통제적 동기유발에서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고자 할 때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과 기본심리욕구 충족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학습활동을 정교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mainl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 total of 578 students (female = 305) completed a multi-measure questionnair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BPNS) and learning engagement. Specifically,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related positively to students’ BPNS an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controlling motivating related negatively to th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support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means that this posi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vs. low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trolling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also means that this nega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This study thus highlights a potential value of BPNS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learning engagement at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