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 제어망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제안

        하기웅(Gi-Ung Ha),민남홍(Nam-Hong Min),황희성(Hee-Sung Hwang),임채호(Cha-Ho L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4 情報保護學會誌 Vol.24 No.3

        SCADA 시스템은 독립적인 폐쇄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산업 제어 시스템이다. 국가기간시설에 주로 이용되는 이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문제는 대재앙으로 확산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 시스템들이 폐쇄된 환경에서 개방형으로 바뀌어가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망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 제어 시스템에 대한 분석과 그에 대한 보안성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 시점의 국내외 정보망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제어망의 특수한 성질에 근거하여 현 관리체계에 대한 한계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정보망과는 다른 제어 시스템만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제어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관리체계 방안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제안한다.

      • 스마트폰 신종 Phishing의 피해사례 및 대응방안 분석

        양준근(Jun-Keun Yang),하기웅(Gi-Ung Ha),김학범(Hak-Beom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情報保護學會誌 Vol.23 No.4

        최근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최대 관심사는 스마트폰 분야이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점진적으로 발달하였고, 누구나 쉽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증권 거래 및 인터넷 검색, 인터넷 뱅킹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점차 밀접한 관계를 맺음에 따라 그와 관련된 신종 Phishing들이 등장하게 되어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신종 Phishing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개방형 OS환경의 특징과 스마트폰 환경에 새롭게 등장한 Smishing의 정의와 피해사례, 그리고 QRishing의 정의를 기술한다. 또한, 신종 Phishing의 피해사례와 그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 전력 제어시스템에서 안전한 보안 인증을 위한 메커니즘 소개

        박준용(Jun Yong Park),민남홍(Nam-Hong Min),하기웅(Gi-Ung Ha),유기순(Ki-Soon Yu),송경영(Kyoung-Young So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14 情報保護學會誌 Vol.24 No.3

        최근 전력 제어시스템의 자동화 효율(Automation Efficiency)과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높이기 위해 공개된 표준 프로토콜과 상용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고 외부망과의 연결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SCADA 시스템에 대한 공격위협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력 제어시스템의 중앙제어장치(Master)와 현장 운영장치(Outstation) 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격인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프로토콜은 보안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어 통신규격 자체에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었고, 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위협 요소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개방형 망이 갖는 장점을 취하기 위하여 DNP3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를 지원하게 되었고, TCP/IP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보안 취약점(Vulnerability)이 전력 제어시스템 및 통신망에 그대로 이전되고 있어 중앙제어장치와 현장운영장치 간에 DNP3 표준에서 제시한 사항 외에 추가적인 보안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SCADA 시스템이 보안성을 갖고 안전하게 운용되기 위한 IEEE DNP3 표준과 ISO/IEC TC57 WG15에서 권고하고 있는 IEC 62351 표준의 인증 및 암호화 메커니즘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