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기업에서 일터학습이 조직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필침예 ( Chen Rui Bi ),이기은 ( Ki Eu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4

        급변하는 환경하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기업들은 종업원들의 능력향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기존에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주로집합식 교육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교육훈련이 필요한 시점에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개인들간의 차이를 반영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최근 기업들은 작업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학습과 교육이 분리되지 않고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일터학습(workplace learning)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일터학습에 관한 대표적인 학자인 Marsick과 Watkins(1990)에 따르면 일터학습은 주로 강의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상당히 구조화된 형식 학습(formal learning), 주로 강의실을 벗어나 일어나며 구조화의 수준이 낮은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 대인간의 상호작용이나 시행착오와 같이 어떤 활동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부산물로 발생하는 우연적 학습(incidental learning) 등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루어진 일터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개념적인 측면에서 다루어지거나, 일터학습에 대해 질적인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터학습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진 연구들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일터학습을 다룬 연구들은 일부 국가 들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기업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을 검토하고자 한다. 중국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일터학습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드문 실정이다. 또한 현재 많은 한국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고 중국기업들과 많은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기업에 대한 검토는 중국기업의 운영방식을 이해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기업들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종업원에 대해 충분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의 3가지 유형(즉, 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우연적 학습)이 조직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일터학습과 조직몰입 및 경력만족과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상사는 조직에서 종업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 소재한 기업들의 종업원으로부터 회수한 38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방법으로는 계층적인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 이외의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인구 통계적 변수(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속기간, 직급, 기업규모, 기업유형 등)는 가설검증을 위해모든 통계분석에서 통제변수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학습이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터학습의 하위유형 중 형식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형식 학습은 조직몰입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일터학습이 경력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터학습의 하위유형 중 무형식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식 학습은 경력만족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터학습과 조직몰입 및 경력만족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전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모두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연구결과에 따른 학문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고 설문지 회수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Under the turbulent enviornments, the companies tries to att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pay much attention to develop the abilities of employees.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rograms used in many companies have shortcomings. It is difficult for traditional educational program to be given to employees at the point they want education and to consider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employees. Therefore, many companies come to get interests in workplace learning in which work and education is not separated. Marsick & Watkins(1990) have divided workplace learning into three types. First, formal learning is given to employees usually in classroom and very structured. Second, informal learning usually happens outside classroom and the level of structured learning is very low. Finally, incidental learning is by-product out of unintended activities like personal interaction or trial and error. There are many studies to review conceptually and to use qualitative methods among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about workplace learning. Some studies which have used quantitative approaches have been dealt in aspect of education. Until now, there are few studies to be performed in China. Even though Chinese firms have made rapid growth, most of Chinese firms have not provided 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to their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thre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y support on their relationships in Chinese companies. The reason that supervisor support is selected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is that supervisor is the representative person to make enormous influences on employees in most of orgnaizations. The total 38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hinese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Dalian, China were finally analyze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hierarchical regression wes used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tenure, position, and type of companies were controlled in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workplace learning partially makes positive a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mal learning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learning are positiv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workplace learning partially makes positive a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Informal learning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learning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y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In conclusion p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implications of those result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aspects.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erms of methodology and the difficulty in questionnaire collection were checked. And finally, future directions of study on LMX among Chinese employe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