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고동사 "思う"의 모달화

        타카하시미호 ( Takahashi Mi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본고는 인용구문와의 차이점을 통해서 모달화된 “と思う”의 특징을 의미론적, 구문론적 또한 형태론적으로 살펴봤다. 의미론적으로는 모달화된 “と思う”는 사고동사의 어휘적 의미가 없어지면서 추량의 조동사에 가까운 기능을 갖게 된다. 구문론적으로는 주어가 나타나지 않고 인용조사“と”를 “って”로 바꾸기 어렵다는 특징이 보인다. 형태론적으로 봐서는 suru형 하나에 제한되며 다른 형태를 볼 수가 없다. 또한 siteiru형으로 바뀌면 문장 성립이 어려워진다. 모달화된 “と思う”는 보기에는 인용구문과 비슷하지만 의미, 기능적으로 많이 다른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mantically, morphologically and grammatically, the Japanese predicate thinking verb "to omou", which has a modal function, by comparing with quotative sentences. Semantically, "to omou" doesn``t have the literal meaning as a thinking verb, but it works as an auxiliary verb such as an epistemic modality. Grammatically, it has no subject in the sentence, and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use "って" instead of "と". Morphologically, it is restrained only to the suru-form,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it to siteiru-form without changing the sentence meaning. In conclusion, there is overt distinction between quotative sentence and "to omou", although they look the same on the surface.

      • KCI등재

        사고동사 “思う(생각하다)”의 의미와 문법기술 -인용구“~と”를 취하는 경우-

        타카하시미호 ( Takahashi Mi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1

        본고는 인용구를 취하는 사고동사 “思う(생각하다)”의 의미기술과 문법기술 을 통하여 “思う”의 다의성과 문법적 특징을 고찰한다. 인용구의 내용에 따라 “思う”의 의미가 “希望する(희망하다)”, “決める(정하다)”, “感じる(느끼다)”, “判斷する(판단하다)”, “信じる(믿다)”등으로 바뀐다. 문법적으로 “思う”는 전 달적인 기능을 갖으며, 주어는 암시된 1인칭이라는 특징이 있는데다가, 모달리 티에 있어서는 화자외의 심적 태도와 과거의 심적 태도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 애스펙트적으로는 “思っている”와 “思っていた”가 무드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아울러 기존 논문에서는 연구를 하지 않았던 인용구의 자세한 고찰을 통해서 인용구와 의미와의 상관성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riety of the meaning an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omou". Depending on the co-occurring quotative phrases, the verb "omou" means "hope", "decide", "feel", "judge", "believe", and so on. Grammatically, the verb "omou" has the communicative function, and the subject is usually the 1st person which is not appeared on the sentence. In addition, it is used to express the mental attitude of the 3rd persons and it has the special meanings in the word forms "omotte-iru/ita". The existing studies haven`t focused of the co-occurring quotative phrases, but this study found out that lexical meanings of the verb "omou" and the co-occurring quotative phrases intrinsically effect each other.

      • KCI등재

        「と思う」의 용법에 관한 기술적연구 -동사술어문을 중심으로-

        타카하시미호 ( Takahashi Mi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본고는 동사술어문과 공기하는 「と思う」에 관해서, 문의 의미적 타입을 통해 의미기능을 고찰했다. 「と思う」와 공기하는 동사술어문에는 현실세계를 확인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있다;①<화자가 직접 확인한 과거의 액츄얼한 일> ②<화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은 과거나 현재의 액츄얼한 일>③<미래의 포텐셜한 일> ④<포텐셜한 특성인 능력> ⑤<가정조건문>. 지각(知覺)을 통해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동사술어문은 「と思う」가 주로 추량용법으로 기능하지만 동사술어문의 타입에 따라 부사“タブン”와의 공기나 “ダロウ”와의 치환, 그리고 「と思う」의 의무성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화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은 과거나 현재의 액츄얼한 일>에 붙이는 「と思う」는 가장 전형적인 추량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포텐셜한 특성인 능력>의 「と思う」는 완곡표현에 가까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sentence type and the function , which “to-omou“ is used, focused on verb predicate sentences. It is found out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verb predicate sentences. The most typical inferential usage of “to-omou“ is the one which is used for the past and the present event which the speaker does not confirm directly. One the other hand, “to-omou“ which is used for potential ability is closer to euphemisms. Verb predicate sentence is used when a speaker confirm the event through his perception directly, so it is mostly used as an inferential usage, but it is also found out that there is non-inferential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