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여성, 구경거리(a spectacle)로서의 여성성: 가시성과 접근성 : 나혜석의 「경희」를 중심으로

        켈리 Y.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5 한국문학연구 Vol.0 No.29

        본 논문은 일본 미대를 졸업했던 첫 조선인 중 하나인 나혜석(1896~1949)의 역사적인 특징들을 비평적인 관점을 통해 살펴보면서, 1920년대와 1930년대 신여성의 현상들을 다루고 있다. 나는 이러한 초창기 신여성의 지식인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전례없는 정체성 형성을 분석할을 것으며, 신여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새로운 여성성을 구경거리고 설정한 형식으로 간주한다. 나혜석과 식민지 조선 대중들 사이의 관계는 일종의 뿌리깊은 상호간 오해이다. 나는 몇몇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인물로 간주되는 자아인, 이례적인 한 개인과 "정상적인" 사람들인 대중사이의 관계란 다양한 형태의 가시성과 물질성(visibility and materiality)의 특징을 띠고 있음을 제시할 것이다. (식민지하의) 근대성과 서구 이념에 대한 신여성의 접근은 특권적인 물질적 조건이 부여된 삶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이러한 조건을 통해 유럽과 미국으로 갈 수 있었다. 동시에, 초기의 자본주의와 인쇄 매체 문화를 통해 대중들은 초창기 유명인사를 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신여성 삶에 대한 대중의 투자와 독법은 엄청난 수준의 호감, 찬사 그리고 판단의 근거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식민주의에 관한 논의를, 나혜석 자신의 삶을 통해 그 시대와 신여성의 성공과 실패를 구현함으로써 그녀의 심리적인 거부감과 자아의 분열로 귀결된 통합된 폭력으로 결론지으려 한다. This essay studies the phenomenon of the New Woman of the 1920s and 1930s, specifically through a critical look at the historical figure of Na Hyesok(1896~1949), one of the first Koreans to graduate from a Japanese art college. I read this prototypical New Woman's unprecedented identity formation as an intellectual and a woman, and the public's perception of her as a construction of a spectacle of new femininity. Na's interaction with the colonial Korean public is one of profound mutual misperception. I will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eptional individual, the private self that is viewed as abnormal in some ways, and the public, the masses who are "normal,"is one marked by various kinds of visibility and materiality. This New Woman's access to (colonial) modernity and Western ideals are made possible only through the privileged material conditions of her life, which allow her an access to Europe and America. At the same time, Korea's nascent capitalism and print media culture enable the public another kind of access and consumption of this early celebrity. In this relationship, the public's investment in and reading of her life show an incredible degree of involvement that carries elements of fascination, adulation and judgment. Finally, I will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colonialism as a totalizing violence that leads to a psychic disavowal and the splitting of the self for Na Hyesok, whose life embodied the triumphs and failures of the era and of the New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