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자원관리정책을 위한 물의 은유와 상징

        배수호(Su Ho Bae),최화인(Hwoa In Choi),홍성우(Sung Woo Hong)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행정논집 Vol.27 No.2

        고대 동양철학자들은 일반적 원리들이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마음과 인간사회를 지배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 및 마음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의 조직, 관리, 통치 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의 원리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이 논문은 동양의 주요 고전인 『맹자』에서 맹자가 성선(性善), 사단(四端), 인의(仁義), 덕(德), 교육, 여민동락(與民同樂), 왕도정치(王道政治) 등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펼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한 물의 비유·은유·상징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수자원관리정책에 던져주는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이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맹자』에서 물의 비작위성과 비인위성,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자연스러움, 물의 근원성과 생장능력, 물의 보편성과 편재성, 물의 차등적 가치, 물의 세탁능력과 치유능력, 물의 위험성과 재난, 관리 대상으로서의 물 등 다양하게 비유·은유되고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특히 물은 생명의 근원이고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에서 오늘날 수자원관리정책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맹자의 ‘행기소무사(行其所無事)’ 원칙은 물을 가두는 방식 보다는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이용한 치수·이수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특히 동양철학의 가치와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의 수자원관리정책은 물, 치수, 이수에 대한 동양철학적 인식을 고려한 정책방향의 정립이 요구된다. Ancient East Asian philosophers thought that general principles are applied not only to nature but also human mind and society. Therefore, they studied to find general principles of natural world and phenomena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not only human nature and mind but also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governing of huma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metaphors and symbols of water, which are employed for Mencius to express his philosophical ideas and thoughts, including benevolence(仁), four sprouts(四端), and king`s way of politics(王道政治). On the basis of content and text network analyses, water in 『Mencius 孟子』 is characterized and metaphored as (but not limited to) non-artificiality, water flowing from high to low place, origin of all life, universality, differential value of water, self-purification, the possibility of risk and disaster by water, and water as the element to be managed and controlled. Mencius emphasizes water to be the most essential element for all natural beings, including humans, to survive and prosper, and thus the paper suggests that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olicy be considered as top priority. It also suggest that the way to consider natural flow of water be better than its artificial control in managing water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