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경쟁차 프론트 도어 강성평가

        최현범(Hyun Bum CHOI),백승엽(Seung Yeup BACK),최강훈(Kang Hun CHOI),이상헌(Sang Heu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6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정책으로 인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을 위한 연비개선 방안도출은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는 주행거리 확보를 위하여 배터리 용량을 늘렸으며, 이에 따른 차체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에 전체 중량의 30%를 구성하는 차체 (BIW : Body In White)를 경량소재를 적용함으로 중량 감소를 통한 연비개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차체 외 후드(Hood), 테일게이트(T/Gate), 도어(Door) 등에 확대되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및 경량 재질 적용 등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완성차 업체는 해외 완성차 업체와 비교하여 소극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경쟁차의 프론트 도어 실물에 대하여 비틀림 정강성(Torsion Static stiffness) 및 동강성(Dynamic stiffness) 시혐을 수행하여 국내 완성차 도어 기준 또는 강성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구조적인 차이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유럽 업체 1종 및 아시아 1종으로 해외 경쟁차의 프론트 도어를 선정하였으며, Door Frame 일체형, 분리형과 Door Inpact beam 형태에 따라 PNL형태와 환봉(Pipe) 형태 등으로 구조를 나눌수 있다. 비틀림 정강성은 Fig 1 같이 도어를 고정 한 후, 도어 상단 코너에 350N의 하중을 가하여 비틀림 변형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유럽차종은 12.55mm, 아시아 차종은 17.36mm, 유럽차종 만 국내 완성차 기준인 16mm 이하 기준을 만족하였다. 특히, 아시아 차종은 프레임 도어 형태로 프레임 용접연결부위가 하중 가하는 경우, 응력 집중되는 취약부 역할을 하여 이와 같은 결과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정강성은 Fig 2와 같이 도어를 메달아 진동해머로 도어의 지정부위를 타격하여 나타난 진동값을 구하였다. 동강성 시험 결과, 1차 고유진동수는 유럽차종은 33.08Hz, 아시아 차종은 38.85Hz로 나타나 둘 다 공진 주파수 30Hz를 회피한 결과를 나타났다. [그림 본문 참조]

      • Ni-P/Au UBM을 갖는 무연솔더 접합부의 크리프 평가

        최현범(Hyun Bum Choi),양성모(Sung Mo Yang),유효선(Hyo Sun Yu)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Recently, Pb-free solder has been widely use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due to the worldwide increase in environmental awareness. However, Pb-free solder has the higher melting point, lower wettability and the formation of brittle metal compounds by Cu diffusion has reported. In addition, UBM which have good reliability for the Pb-free solder becom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electroless Ni-P/Au UBM is widely used due to the better wettability and diffusion prevention of Cu.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ep property for the Pb-free solder joints with Ni-P/Au UBM.

      • 상용차체 개발을 위한 동강성 개선활동

        최현범(Hyun Bum CHOI),박승연(Seung Youn PARK),최강훈(Kang Hun CHOI),이상헌(Sang Heun LEE) 대한기계학회 202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0 No.8

        최근, 오토캠핑 등의 여가활동과 인터넷 쇼핑으로 인한 택배화물 수송물량의 증가로 현 상용차 확장모델에 대한 요구가 대두 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상용차는 디젤기관을 동력원으로 하기에 강화된 정부의 환경정책으로 인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을 위한 연비개선 방안도출은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총 중량의 30% 내외를 구성하는 차체 (BIW : Body In White)는 경량소재를 적용함으로 중량 감소를 통한 연비개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상용차체는 반복되는 중량물 상하차, 오토캠핑에 의한 취사장비 및 거주자 탑승 등으로 강도와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고장력 강 선정하여 두께 감소를 통하여 경량화를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력 강을 적용한 상용차체의 후방부 (Rear Floor) 확장모델에 대한 동강성(Dynamic stiffness) 을 기존 상용차체와 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여 동등이상 확보가 가능한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상용차체와 개발 확장된 상용차체 Modal Test를 통한 1차 고유진동수 범위를 통한 강성비교를 수행하였다. 동강성 해석결과, 기존 상용차체의 1차 고유진동수는 20.3Hz, 개발 상용차체는 18.7Hz로 저하된 결과값으로 차체확장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취약부로 도출되어 길이연장 및 소재두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개발 확장된 상용차체 개선으로 취약부에 적용을 위한 REINF-BRKT를 강성확보를 위해 굴곡 형상 및 중량 절감을 위하여 홀(Hole)을 반영 제작하였다. 개선1차 개발 상용차체 동강성 해석결과는 20.2Hz로 기존 상용차체와 동등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또한, 동시성형기술로 제작된 SIDE MBR RR-RR를 개발 상용차체에 적용된 동강성 해석결과는 23.7Hz로 기존 상용차체 보다 높은 결과값이 나타나 본 연구에서 최종 목표로 한 동시성형 제품 적용에 대한 경량 및 동강성 증가 효과를 갖는 확장된 상용차체 모델을 확보 하였다. [그림 본문 참조]

      • 소형 SUV 리어플로어 차체부품 개발

        최현범(Hyun Bum Choi),최강훈(Ganghun Choi),이상헌(SangHeun Lee),김민근(MinGeun Kim),김재열(Jae Yea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자동차 연비 규제강화는 매년 4~5% 강화되는 추세이며, 각 국가별 규제에 따라 기준 미달 시 벌금부과, 경우에 따라서는 판매금지 정책이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친환경 차량의 수요시장이 배터리 전기차량(Battery Electric Vehicle)모델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어, 배터리 팩 중량으로 인한 차체중량 증가로 인하여 경량 차체 부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소재 적용하여 양산품 대비 경량화 된 리어플로어 모듈 제작 및 개발하여 동강성 해석을 통하여 주행 발생하는 고유 진동수 영역이 회피여부를 확인하였다. 경량 리어플로어 모듈은 Photo 1. 같이 알루미늄 6000계열 냉간 프레스 성형 대물 PNL 및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된 경량 BRKT으로 제작된 백 판넬과 고강도 강로 제작/개발한 RRFLR Cross memb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산 리어플로어 모듈과 실 중량 측정을 통하여 경량 리어플로어 모듈과 비교 결과, 경량 리어플로어 모듈이 양산 대비하여 20% 중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경량 리어 플로어 모듈의 동강성 해석은 Fig 1과 같이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수립하여, 경량 센터플로어 모듈의 주요 포인트를 가진 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1차 고유진동수 등을 도출하였다. 해석결과, Fig 2 같이 경량 리어플로어 모듈의 1차 고유진동수는 50.99Hz로 정량적 목표(양산차) 기준인 1차 고유진동수 25Hz을 크게 벗어난 결과를 나타났다. 그 밖에 2차 고유진동수 66.196Hz, 3차 고유진동수 77.825Hz로 현 양산모듈의 2차 고유진동수 35Hz, 3차 고유진동수 75Hz를 상회한 결과를 도출되어 각 모드별로 공진 주파수 회피설계를 확인하였으며 주행 중 동강성에 대한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차체부품접합을 위한 Flow Drill Screw 시험

        최현범(Hyun Bum CHOI),최강훈(Kang Hun CHOI),이상헌(Sang Heu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6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정책으로 인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을 위한 연비개선 방안도출은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는 주행거리 확보를 위하여 배터리 용량을 늘렸으며, 이에 따른 차체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에 전체 중량의 30%를 구성하는 차체 (BIW : Body In White)를 경량소재를 적용함으로 중량 감소를 통한 연비개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연구로 알루미늄 등 경량소재를 차체부품으로 점차적으로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경량소재 차체부품간의 접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간 접합으로 국내/해외 양산차 모델에서 접합부재(Drilling Screw)를 고속회전 마찰로 박판의 부품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Flow Drill Screw를 이용하여 이종소재별 접합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편은 KS B 0851 규격을 참고하여 100*30mm 사각재로 겹침시편으로 제작을 하였으며, 소재 구성은 Al 6061, ALDC12 그리고 590/780MPa급 고장력강으로 구성하였다. 당사에서 선행된 알루미늄 박판 Flow Drill Screw 접합 조건과 관련 해외 업체와의 검토를 통하여 접합 Drill Tool 조건을 선행 조건 대비하여 증가한 툴 회전수 및 툴 가압력등을 Fig 1와 같이 설정하였고 강판을 별도의 홀 가공없이 접합을 진행하기 위한 신규 접합부재를 선정하였다. 제작된 접합시편은 만능재료시험기로 2mm/min 인장속도로 구성별 Flow Drill Screw 접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합강도 시험결과는 Al 6061/590MPa는 7.19KN, Al6061/780MPa는 7.58KN으로 나타났으며, ALDC12/590MPa는 6.22KN 그리고 ALDC12/780MPa는 6.84KN으로 나타났다. 접합강도인 4.7KN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치는 달성하였으며, Flow Drill Screw 접합시편 파단형상을 살펴보면, Al6061 경우 접합부재가 파단이 되는 반면, ALDC12는 모재가 파단된 형상으로 나타나 ALDC 12의 모재 조직내 기공 등 취약부로 인하여 Al6061 대비하여 낮은 접합강도 값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본문 참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