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조사사업 주택밀집 지역 측량 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최초원,신순호,Choe, Cho-Won,Shin, Soon-Ho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5 지적과 국토정보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의왕시 지적재조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지적재조사 사업의 측량 방법중 GPS-RTK(Network, Single)측량과 토탈스테이션(T/S)측량의 성과 정확도 및 소요시간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주택밀집 지역의 도시지역 지적재조사 사업지구에서의 효율적인 측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왕시 지적재조사 측량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의 지적재조사 측량 방법은 GPS-RTK측량 방법을 지양하고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 방법을 제1원칙으로 정하고 GPS -RTK측량을 보조측량 및 검사 방법 등에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2013 survey Uiwang pointed out how the Resurvey of Cadastre ed projects reviewed relation to the business carried GPS-RTK (Network, Single) and total station surveying (T/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ime Measurement Accuracy urban areas Resurvey of Cadastre was to present an effective survey methods in the business district. In this study, Uiwang review survey results indicated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results, which a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the building of intelligent review of GPS-RTK surveying methods is avoided by the measurement method to establish the first principles method based on total station surveying the GPS-RTK survey to draw conclusions appropriated to take advantage of the assistance and inspection methods.

      • KCI등재

        지적공부 자료정비 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의왕시를 중심으로 -

        최초원,신순호,Choe, cho-won,Shin, soon-ho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7 지적과 국토정보 Vol.47 No.1

        본 연구는 의왕시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 사업과 관련하여 지적공부(도면, 대장)등록사항의 정비를 자료정비 사업에 의하여 정비하였던 것에 착안하고 있다. 여기에서 나타난 사례를 통해 향후 지적공부 확산정비 모델과 함께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 사업에 고품질의 데이터 제공과 자료정비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공부 자료정비 사업을 통한 성과와 제도적,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의 효율성 부분을 근거로 제시하여 자료정비 사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사업대상 지역 현황과 오류 유형의 정의, 대상지역 오류 현황 등을 분석하고 여기에서 나타난 오류를 유형화하여 이에 대한 정비방안과 정비성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aintenance of the registration details of the cadastral study (drawings, chiefs) in relation to Uiwang city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formation unification project by the data maintenance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igh quality data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maintenance business in the unification of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tellectual study diffusion maintenance model in the futu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llectual study data maintenance project and the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 temporal and cost aspects, it was able to show the effect of the data maintenance project.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typed the error shown here, and developed the maintenance plan and maintenance result.

      • 지적기준점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최초원(Choe, chowon),이용호(Lee, Yongho),이효상(Lee, HyoSang)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범정부적인 4차 산업 혁명의 추진에 따른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드론 사업화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국토정보분야의 혁신성장을 선도 할 수 있다. 드론 영상 처리의 전통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고비용, 고품질에서 저비용, 맞춤형 품질 및 고속 자동화가 요구되고 현 지적 측량 업무 중 장시간이 소요되는 현황 측량 및 경계 복원 측량 작업 방식의 혁신적 개선 및 확산에 필요한 솔루션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본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지적 측량 업무 시스템(랜디고)에 드론 측량 추가 개발을 통하여 비숙련 무자격자도 드론 운영이 가능한 관제 개발 기술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인력 및 측량 장비 중심의 현장 업무 방식을 탈피, 드론 활용을 통한 지적 측량 업무를 단계적으로 개선하는 방안과 이에 따른 중장기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측량 현장 업무 투입 시간 절감 및 원격 측량 업무에 효율적인 지원 및 운영을 위하여 드론 활용 지적 측량 현장 지원 솔루션 개발과 지적 통합 업무 시스템(랜디고) 기반의 드론 운용 관제 기술 개발 및 지적 경계점 위치 표시를 위한 센서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이 목적이다. 더불어 지적 측량 업무 드론 신기술 적용을 통한 활용 모델 제시 및 검증을 통하여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향후 LX 한국국토정보공사 차원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