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F-18 FDG PET/CT에서 양성과 악성 근골격 종양의 감별진단-수신자 판단특성곡선을 이용한 maxSUV의 절단값 결정

        공은정 ( Eun Jung Kong ),조인호 ( Ihn Ho Cho ),천경아 ( Kyung Ah Chun ),원규장 ( Kyu Chang Won ),이형우 ( Hyung Woo Lee ),최준혁 ( Jun Heok Choi ),신덕섭 ( Duk Seop Shin ) 대한핵의학회 2007 핵의학 분자영상 Vol.41 No.6

        목적: F-18 FDG PET은 근골격계 종양에서 양성과 악성병변을 감별하는 유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F-18 FDG를 이용한 PET/CT로 근골격계 종양의 maxSUV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치료 전 46개 병소(연부 조직 종양 양성/악성 : 11/12, 골종양 양성/악성 : 9/14)에 대하여 F-18 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악성과 양성을 구분하는 maxSUV 절단값은 연부 조직 종양에서는 4.1, 골종양에서는 3.05로 하였다. 결과: 연부 조직 종양에서 양성(n=11; maxSUV 3.4±3.2)과 악성(n=12; maxSUV 14.8±12.2) 간에 maxSUV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01) 차이가 있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3%, 91%였다. 그러나 골종양에서는 양성 종양(n=9; maxSUV 5.4±4.0)과 악성 골종양(n=14; maxSUV 7.3±3.2)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부 조직 종양에서는 결절성 근막염이 위양성으로 나타났고(maxSUV=12.4) 골종양에서는 섬유성 골이형성증과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2예 및 골모세포종이 있었다. 결론: 연부 조직 종양에서 maxSUV는 양성과 악성을 감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러나 골종양의 경우에는 maxSUV가 낮은 경우에는 악성을 배제할 수 있었으나, maxSUV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학적으로 조직구나 섬유모세포 등이 포함된 종양의 감별진단을 고려하여야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standard uptake value (SUV) of F-18 FDG at PET/CT for differentiation of benign from malignant tumor in primary musculoskeletal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orty-six tumors (11 benign and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9 benign and 14 malignant bone tumors) were examined with F-18 FDG PET/CT (Discovery ST, GE) prior to tissue diagnosis. The maxSUV(maximum value of SUV)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The lesion analysis was based on the transverse whole body image. The maxSUV with cutoff of 4.1 was used in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soft tissue tumor and 3.05 was used in 0bone tumor by ROC curve.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SUV between benign (n=11; maxSUV 3.4±3.2) and malignant (n=12; maxSUV 14.8±12.2) lesions in soft tissue tumor (p=0.001). Between benign bone tumor (n=9; maxSUV 5.4±4.0) and malignant bone tumor (n=14; maxSUV 7.3±3.2),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SUV.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soft tissue tumor was 83% and 91%, respectively. There were four false positive malignant bone tumor cases to include fibrous dysplasia, Langerhans-cell histiocytosis (n=2) and osteoid osteoma. Also, one false positive case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was nodular fasciitis. Conclusion: The maxSUV was useful for differentiation of benign from malignant lesion in primary soft tissue tumors. In bone tumor, the low maxSUV correlated well with benign lesions but high maxSUV did not always mean malignancy. (Nucl Med Mol Imaging 2007;41(6):553-5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