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 평가를 위한 지각도구 개발

        김현주(Kim, Hyeon-Ju),지윤미(Ji, Yun-mee),최종환(Choij, Jong-Hwan)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일상생활 능력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는 기능적 체력 평가를 위한 지각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 및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26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6개 체력요인(하체·상체 근력, 심폐지구력, 하체·상체 유연성, 민첩성/평형성)을 포함하는 23개의 최종문항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전문가 집단 6명에게 내용타당도를 실시한 결과 26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8로 높은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Cronbach"s alpha 분석을 이용한 26문항의 내적일관도는 ⍺=0.962로 높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총 23개의 문항을 선택하였다. 넷째,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23개의 모든 문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한 준거타당도는 기능적 체력 평가를 위한 지각도구와 노인 기능체력검사(Senior functional test, SFT) 간에 유의하게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각도구는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 평가에 적합하고, 나아가서 그들의 건강과 체력을 위한 유용한 지각도구가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perception tool for functional fitness assessment that can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omen. 26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perts" opinions, and then the final 23 items were developed by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including 6 fitness factors(lower-body and upper-body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lower-body and upper-body flexibility, and agility/dynamic balance).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 validity index(CVI) for the 26 questions by 6 experts was 0.8 and significant. Second, using Cronbach"s alpha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on the 26 questions was ⍺=0.962 and significant. Thir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struct validity established significant 23 question items. Fourth,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retest reliability indicated high correlations in all 23 question items. Fifth,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iterion validity between perception tool for an assessment of functional fitness and Senior Functional Test(SF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Therefore, this study may suggest that the developed perception tool is appropriate for an assessment of functional fitness, and further becomes useful for health and fitness in the elderly women.

      • KCI등재

        코어 안정성 운동이 역도선수의 허리 근력 균형과 용상 클린 동작 시 허리근육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은자(Choi, Eun-Ja),김현주(Kim, Hyeon-Ju),최종환(Choij, Jong-Hwa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안정성 운동이 역도선수의 허리근력 균형과 용상 클린(clean) 동작 수행과정에서 국면별 허리근육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도엘리트 선수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전문역도 운동과 코어 안정성 운동을 병행한 집단과 전통적인 훈련 집단(전문역도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 집단)으로 무선배치 되었다. 8주간의 훈련 후 허리 근력 균형과 용상 클린 동작 시 허리근육 균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코어 안정성 운동을 병행한 집단의 허리 근력균형이 향상되었다. 또한 코어 안정성 운동을 병행한 집단에서 용상 클린동작 시 허리 균형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통적인 훈련 집단은 5국면에서 L2, L5 및 허리 전체의 불균형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코어 안정성 운동을 병행한 전문역도 운동이 역도선수들의 허리근력 균형과 용상 클린 동작 수행 시 허리근육의 균형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re stabilizer exercise on strength balance of the low back muscles and balance of lumbar spine muscle activity using EMG technique in Weightlifter’s clean mo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core stability exercises and specializing exercise of weightlifting or conventional training(weight training and specializing exercise of weightlifting) for 8 weeks. The subjects were tested on strength of the low back muscles and activity of lumbar spine muscle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8-week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fter core stability exercises and specializing exercise of weightlifting,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s on strength balance of the low back muscles. Second, after core stability exercises and specializing exercise of weightlifting, there was no change on balance of lumbar spine muscle activity.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mbalance in L2, L5, and total lower back at 5th phase of clean motion after conventional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e stability exercises and specializing exercise of weightlifting is mor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trength balance of the low back muscles and balance of lumbar spine muscle activity during Weightlifter’s clean 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