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대학의 "복합응용형 한국어 인재" 양성을 위한 제언

        최정순 ( Jeongsoon,Choe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alents needed in China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tudied the Korean education objective presented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viewed the concept of a “Combining Talent” mentioned there. At the same time a variety of studies and proposals from the Korean major Chinese education researchers were explored. However,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alents has failed to nurture “Combining Talent” because of the curriculum mainly. Therefore, the researcher defines the person who has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a wide variety of fields of expertise and furthermore has the ability to practically utilize it as “Composite Application Type Korean Expert”. And nurturing of these talents must be the goal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and proposed the new curriculum for the these talents based on the grade of ALTE.

      • 문어 기반 학문적 문식성 교육에 대한 제언

        곽준화 ( Guo Junhua ),최정순 ( Choe Jeongsoon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6 No.-

        Academic literacy is a require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be succeed in challenging literacy tasks in the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ducation of academic literac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s a result, “collaborative learning” and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strategy’ can be used in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academic literacy. This paper also shows a model of essay writing class as an example.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교수 불안감 연구

        윤지원 ( Yoon Jiwon ),최정순 ( Choe Jeong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시 갖게 되는 어려움의 원인 중 하나인 불안감에 대한 연구이다. 29개국 131명의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교수 불안감은 2.62점이었다. 교사의 불안은 교수에 방해가 되는 주요 요소로서 수업에서의 자신감 결여, 그리고 교수 불안감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불안감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문항 분석을 통해 얻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주요 원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수업 상황에서 어휘나 문법 영역에 대해 느끼는 불안은 철저한 사전 수업 준비로 완화시킬 수 있다. 둘째,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꾸준한 자기 개발 노력이다. 셋째, 위의 개인적 노력을 넘어선 한국어교육 전공자 집단이나 세종학당재단이나 국립국어원 등 한국 정부 기관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수 불안감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으나 그들의 국적, 연령, 성별, 한국어교육 경력 등의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설문에 참여한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실제 한국어 숙련도(한국어 능력)을 파악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불안을 이해하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xiety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they are facing in the clas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urvey on 131 non-native Korean teachers from 29 countries, the anxiety of non-native teachers at the Korean class was 2.62 points. It wasn’t a high result, but it still causes the lack of confidence and teaching anxiety at the class. It is needed to put effort to solve the non-native teacher’s anxiety because it is the main factor which hinders teaching in th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on the main cause of non-native teacher’s anxiety based on the facts through out the analysis of questionaires. Firstly, anxiety at the area of vocabulary or grammar in the class situation can be dimin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Secondly, non-native Korean teacher’s constant effort for self-development. Thirdly, It is essential to run parallel with the effort of individual and with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support by Korean government such as King Sejong foundation or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r by the group of people who maj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though this study confirmed there is anxiety of non-native teacher by the survey, it has a limit Because it hasn’t discus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age, gender and work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and also Korean proficiency of non-native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However, it significance not only it understands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anxiety but also it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finding the solu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in Korean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