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고리 5, 6호기에 대한 한국인의 여론 : 반론기술에 의한 여론의 구조분석

        최인숙 ( Insook Choi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8 시민사회와 NGO Vol.16 No.2

        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한 한국인의 여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방법은 한국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추출한 후, 먼저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 이들을 찬성자와 반대자 두개의 그룹으로 다시 나누어 전자에게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단점을, 후자에게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장점을 정보로 제공하여 반론을 시킨 후 의견을 재차 묻고, 이때 의견이 변화한 양상과 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반론에 직면해 초기의견을 바꾼 응답자는 29.3%로 나타났고, 이 때 의견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초기의견’, ‘원자력과 정치에 대한 관심’, ‘원자력발전과 정치에 대한 정보인지’, ‘정치성향’, ‘학력’으로 나타났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한 한국인의 여론은 응답자의 초기의견이 찬성이고, 정치와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과 정보인지가 낮을수록 의견의 확신도는 취약한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민주국가의 공정한 여론 형성을 위해서는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고 토론을 시켜 관심을 고조시킨 후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새로운 여론조사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erimental survey on Shingori 5th and 6th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by using a dynamic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political opinions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public opinion and gain exact results. The survey conducted the following steps: First, 1,000 interviewees over the age of 19 are asked if they are in favor of or against resuming Shingori 5th and 6th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of a supporter and an opponent, then information about the disadvantage and advantage of Nuclear Power are provided to the supporter and opponent, respectively. After reading the counter-argument, they are asked their opinions aga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uch anticipation as to how their first opinions, their interest in politics and nuclear power, their information perception of nuclear power are influenced when confronted with a counter-argumen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ed that 29.3% of the interviewees have changed their first opinion which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ir first opinion, information perception, a frequency of mentioning nuclear power and politics, an inclinat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level. The interviewees who agreed with nuclear power and had lower information perception and interest tend to change their opinion more easily. The result suggests that building people's interest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making them to debate is significant in a formation of desirable public opinion in a democracy.

      • KCI등재

        기본소득제 실현가능성 : 프랑스 사례

        최인숙(Insook CHOI) 통합유럽연구회 2019 통합유럽연구 Vol.10 No.1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 정보혁명으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과 노동의 우버화는 사회안전망을 필요로 한다. 최근 좌우파를 막론하고 기본소득제가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다. 기본소득제는 현행의 복지제도와는 달리 모든 국민에게 의무나 조건 없이 소득을 제공하는 최저 사회보장제도이다. 본 연구는 프랑스 기본소득제를 사례로 들어 그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기본소득에 관한 4개의 시나리오와 정부와 시민이 추진하는 기본소득제의 실험, 그리고 논의되고 있는 담론들을 분석한 결과 기본소득제는 분명한 개념정립과 표준화된 모델, 충분한 실험 등이 선행되어야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프랑스의 기본소득제는 새로운 시스템이 아니라 기존의 복지개혁 때마다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왔다. 1989년 RMI 창설, 2009년 RSA의 창설 등이 그 예이다. 결국 프랑스 기본소득제의 실현은 복지제도를 완성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지만 결코 쉬운 여정은 아니다. 프랑스 기본소득운동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소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복지제도를 확대하고 기본소득 개념을 가미한 정책들을 꾸준히 개발해 나가야 한다. 둘째, 복지수준이 미흡한 현 단계에서 기본소득제 도입은 큰 모험이다. 셋째, 국민과 꾸준히 논의하면서 기본소득의 개념을 정립하고 표준화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The bi-polarisation caused by globalisation,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exacerbated by information revolution, and uberisation of labour require social safety net. This is the reason that both left and right parties have recent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The basic income system, different from the current welfare system, is the minimum social welfare system which provides the whole citizen with the income without any responsibilities and the condi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by taking the case of the Republic of F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our scenarios of basic income system, private-public basic income experiment, and ongoing discourses, the universal basic income can be boosted only when the clear establishment of concept, the standardized model, and extensive experiments are preceded. Besides, the French basic income system is not a new one but th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elfare reformation. The creation of RMI in 1989, and RSA in 2009 are those examples. The realization of French universal basic income is at the last stage of completing the welfare system but this is not an easy journey. The implication of French universal basic income movement gives us is that we need to first of all extend the welfare system as well as continuously develop the policies applying the concept of basic income. It is a big adventure to adopt the universal basic income at a current stage, when we have a weak welfare system.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with the citizen and develop the standardized model, then we will see the feasi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에 관한 연구

        박화윤(Park WhaYon),마지순(Ma JiSun),최인숙(Choi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이 실행하는 자기장학 내용과 자기장학 실행의 방법 그리고 자기장학 실행 후의 적용이 어떠한 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유치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x2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의 내용으로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를 가장 많이 실행하였다. 유치원 교시의 자기장학 실행 방법은 관련출판물(47.6%)과 대중매체의 활용(43.3%) 현장견학(42.1%), 교육연수(41.7%)를 대체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는 자기장학 실황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 supervis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supervision for teaching-learning & evaluation activities had been higher participan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self supervision behaviors had done more than reading literature(47.6%), mass media utilization(43.3%), field-trip(42.1%), in-service program(41.7%). Early childhood teachers adaptation that have been learned by self-supervision.

      • KCI등재

        예비 유아 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

        김영실(Kim YoungSil),임양금(Lim YangKeum),최인숙(Choi InSook),안진경(Ahn Ji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예비 교사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에 따른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4명으로서 질문지를 통해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불안감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불안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교수능력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해서는 예비 교사양성과정에서 과학에 대한 확고한 지식을 쌓게 하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면서 불안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scientific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and anxiety toward science according to their grade. A total of 24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 that examined their scientific knowledge, attitude and anxiety toward scienc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scor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ere, the higher scores in anxiety were. Also, as the sco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ientific knowledge got higher, the score in attitude toward science got higher. But the score in anxiety got lowe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for training teachers with science teaching ability, ways should be found to help them have scientific knowledge, increas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S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fo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gain the proper scientific knowledge,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o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