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성탄 및 TiO<sub>2</sub>가 담지된 활성탄을 이용한 Methylene Blue 의 흡착 연구

        장걸 ( Zhang Jie ),얜요 ( Yan Yao ),정태섭 ( Jeong Tae Seop ),최용철 ( Cui Longzh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수용액중의 Methylene Blue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등온흡착 곡선과 동력학 방정식을 구하기 위하여 Batch실험을 하였는데 실험결과 동력학 방정식은 first-order Model과 일치하였고 등온흡착곡선은 Langmuir isotherm model에 부합되었다. 동시에 일반 활성탄과 TiO<sub>2</sub>를 첨가한 활성탄의 최대 흡착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The feasibility of activated carbon to remove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s was investigated. Batch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isotherm and kinetics with differen initial concentration of Methylene blue. The kinetic data were fitted to first-order Model, Second-order Model and it was found to follow closely the Second-order Model model. Equilibrium data were fitted to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models. The equilibrium data were best represented by the Langmuir isotherm model. Also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compared in the equilibrium experiment using activated carbon and TiO<sub>2</sub>-coated activated carbon.

      • KCI등재

        UV와 오존을 이용한 톨루엔의 분해반응과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정태섭 ( Tae-seop Jeong ),신철호 ( Chol-ho Shin ),김종선 ( Jong-seon Kim ),최용철 ( Cui Longzh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UV, 오존, UV/오존 및 UV/오존/촉매 공정을 이용한 톨루엔의 제거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반응부산물로는 biphenyl, 벤즈알데히드 및 벤질알콜 등이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UV/오존/촉매의 혼성공정을 이용하여 현장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대적으로 UV, 오존 및 UV/오존에 의한 톨루엔(100ppm)의 실험실적인 분해효율은 4.7-7.4%, 7.9-19.3% 및 15.1-29.2%로 나타났다. 2. 고농도 톨루엔(700ppm)의 분해효율은 UV/오존/촉매>오존/촉매>UV/촉매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초기 VOC 농도가 700-1,000ppm인 현장실험의 VOC 제거효율은 85-95%로 나타났다. 4. AOP 반응의 부산물로는 소량의 벤젠, 벤즈알데히드 및 벤질알콜 등의 화합물이 검출됐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toluene in air using of UV, ozone, UV/ozone and UV/ozone/catalyst processes. The by-product of this reaction was analyzed to be the biphenyl, benzaldehyde and benzyl alcohol compound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we conducted the pilot test by using UV/ozone/catalyst hybrid system.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1. In the laboratory experiments, the degradation efficiencies of toluene(100ppm) in the UV, ozone and UV/ozone process are 4.7-7.4%, 7.9-19.3% and 15.1-29.2% respectively. 2. The order of the degradation efficiency at a high concentration of toluene(700ppm) is like follows : UV/ozone/catalyst>ozone/catalyst>UV/catalyst. 3. At the pilot test(initial concentration of VOC:700-1,000ppm), the removal efficiency of VOCs was 85-93%. 4. A little amount of benzene, benzaldehyde and benzyl alcohol was detected in the by-products of these AOP reacions.

      • KCI등재

        UV,오존 및 촉매를 이용한 벤젠과 자일렌의 처리에 관한 연구

        정태섭 ( Tae-seop Jeong ),신철호 ( Chol-ho Shin ),김종선 ( Jong-seon Kim ),최용철 ( Cui Longzh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고급산화공정인 UV, 오존, UV/오존 및 UV/오존/촉매 공정을 이용하여 벤젠과 자일렌의 제거특성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반응 부산물은 GC/MS 및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교적 낮은농도의 벤젠과 자일렌(150mg/㎥)의 전환 효율은 UV/O<sub>3</sub>>O<sub>3</sub>>UV순으로 관찰되었다. AOP 공정의 반응 부산물은 많은 양의 CO<sub>2</sub>, CO 가 검출됐으며 벤즈알데하이드, 벤질 알콜, 페놀 및 벤조익산도 검출되었다. Ozone/UV/Catalyst의 혼성공정에 의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의 벤젠과 자일렌(500mg/㎥)의 변환 효율은 88.1~94.7%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ate the removal benzene and xylene in air using of UV, ozone, UV/ozone and UV/ozone/catalyst. The by-products of this reaction were analyzed by GC/MS and HPLC. The conversion efficiencies of benzene and xylene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UV/O<sub>3</sub>>O<sub>3</sub>>UV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benzene and xylene(150mg/㎥). By products of these AOP processes were detected a lot of CO<sub>2</sub>, CO and benzaldehyde, benzyl alcohol, phenol and benzoic acid. At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benzene and xylene(500mg/㎥), conversion efficiencies of Ozone/UV/Catalyst hybrid processes were in the range of 88.1 to 94.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