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낱말정의하기 특성

        최숲(Choi, Soop),신문자(Shin, Moon Ja)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e depth of the word knowledge betwee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HFASD(n=15) and TD(n=15) who matched with chronological age(CA)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n a one-to-one basis conducted the task of defining a word consisting of a concrete noun and an abstract noun. The accuracy of definition of HFASD is lower than TD in defining concrete nou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finition category according to functional definition, relational definition, physical definition, categorical definition and inappropriate definition, HFASD showed more inadequate definition than TD.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정의하기(word definition)’ 과제를 사용하여 이들의 질적인 어휘지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15명과 생활연령 및 표현어휘능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에게 구체어와 추상어로 구성된 낱말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한 후, 정의 정확도와정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체어 정의 정확도에서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또한 정의 유형을 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 부적절한 정의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일반 아동보다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부적절한 정의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질적인 어휘지식이 일반 아동보다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낱말의미검사 개발을 위한 타당성 예비연구

        신문자(Moon Ja Shin),최숲(Soop Choi)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1

        This pilo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ord Semantic Test (WST) which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semantic knowledge of word association, word definition, and semantic absurditi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WST was developed through a research review in which six SLPs evaluated content validity. The REVT (Kim et al., 2009) and the WST were then applied to 84 normal grade 1-3 children. Constructive validity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otal and subtest scores was measured, as was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between the WST and the REVT Reliability was measured by Chronbach’s α.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word association, semantic absurdities, and total score.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found to be a minor characteristic, whereas correlations between the REVT and these test score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and subtest’s scores. Chronbach’s α. value for the total score was .82.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is developing test was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but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content with high-frequency words and to standardized the test on the basis of results with a much larger sample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