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지식재산권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황분석 연구

        최세연(Choi, Se Yeon),남원석(Nam, Won Su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지식재산권은 국가 경쟁력 성장에 전략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복잡한 대응 절차와 기술, 법률이 어려운 지식재산권은 비전문가가 이해하기엔 어려운 분야이며 이로 인해 많은 디자인 전문회사, 1인기업인 뿐만 아니라 개인의 아이디어로 창업한 상인들까지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식재산권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조사, 설문조사 바탕으로 SPS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조사 결과 1)지식재산권 관련 피해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클라이언트 관계성과 기술, 법률에 인해 복잡한 대응절차로 피해 경험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디자인학부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지식재산권수업이 개설된 대학교가 드물며 외부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IP실무프로그램을 제외한 교내수업은 법학적 개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이였다. 설문조사 결과 1)지식재산권 교육의 활용도, 만족도, 선호도를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설문 분석결과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비해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2)지식재산권에 대한 접근성 부족, 교육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만족도가 적게 나온 점, 수준에 맞는 단계적 교육 커리큘럼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식재산권교육의 나아갈 방안에 대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 지식재산권 교육 문화의 장이 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 되고자 한다.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a strategic means of grow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complicated response procedures, technologies and laws, are difficult for non-professionals to understand, which is causing damage to many design companies, one-person companies, as well as merchants who have started with individual ideas. This study aims to present ways to impro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ducation to strengthen design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PSS data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surve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survey 1)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ather than large companies, accounted for more experience in damag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ue to complicated response procedures due to client relationships, technology and laws. 2)Looking at the curriculum of the design department, there were few universities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lasses, and the in-school classes, except for IP working-level programs conducted by extern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nducted under the legal concept. According to the survey 1)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ikert scale survey showed that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ducation was not high compared to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2)Problems such as lack of access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ack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lack of a step-by-step education curriculum were found. Accordingly, we proposed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on how to proce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ducation, an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becoming a venue for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ultur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복잡성이 혁신실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최세연(Se Yeon Choi),문혜진(Hyejin M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3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서 급속한 변화와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혁신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복잡한 혁신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혁신의 성패는 물론 조직의 생존에도 중요하지만, 혁신복잡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일관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혁신의 도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혁신실행 과정에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는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집단 및 조직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어 혁신의 실제 사용자인 구성원들의 관점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혁신복잡성이 구성원들의 혁신실행 및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직무요구-자원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직무요구로서의 혁신복잡성이 구성원들의 혁신학습에 및 그 결과인 혁신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직무자원이자 상황변수인 혁신실행 자율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국 제조업군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171명의 구성원과 50명의 상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혁신복잡성은 혁신학습에, 혁신학습은 혁신효과성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학습은 혁신복잡성과 혁신효과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실행 자율성은 혁신복잡성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혁신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더 나아가 혁신학습의 매개역할을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혁신복잡성은 구성원의 혁신학습을 통하여 혁신의 성공적인 실행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적인 시사점과 함께 혁신실행과정에 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apid changes and fierce global compet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dding complexity to the evolution of organizations’ essential innovations. However, the question of how innovation complexity affects innov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is yet to be answered where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plex innovation determines not only the outcome of the given innovation but also overall firm survival. To fill the gap, the current research,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imed to test whether the effect of innovation complexity on innovation effectiveness is mediated by innovation learning whereas a contextual variable,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learn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171 employees and 50 managers who work for a manufacturing company located in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innovation complex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innovation learning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In addition, innovation learning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As hypothesized,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interacted with innovation complexity to affect innovation learning; as a result, innovation implementation autonom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omplexity and innovation effectiven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 in regard to the JD-R model and practical implication on innov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were provided.

      • KCI등재

        가상기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박경혜,최세연,Park, Kyung-Hye,Choi, Se-Yeon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007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14 No.1

        Globalization changes in market structures and consumer needs, as well as technology innovations force organizations to adopt new structures and collaborative networks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These Collaborative Networks are based on the Idea of virtual enterprise. A virtual enterprise(VE) is a temporary alliance of globally distributed independent enterprises that share core competencies and computer networks. This paper presents a proposal for a methodology to measure a key factor of success and risk First of all, we chose thirty experts' defines on virtual enterprise, fifteen are academic specialist and other fifteen are from industry. For this study we define twenty two factors determining VE's success and seventeen factors determining VE's risk using by Delphi method. And we built the influence model on virtual enterprise.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preceeding research and consensus on experts then the revised model of key factors on virtual enterprise. This survey was based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HP is an approach to decision making that involves structuring multiple choice criteria into a hierarchy, the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t of these criteria, comparing alternative for each criteria, and determining an overall ranking of the alternatives. A model was constructed as 3 level hierarchy. The hierarches are organizational, strategic, technical criteria. for success model on VE has 22 factors and 17 factors for risk model. They are selected by all 30 experts. 14 copies among 30 copies distributed to carry out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Consistency ratio confirm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 and support theoret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presented success on VE influenced strategic criteria, and essential factor is Creating a value. Risk on VE influenced strategic criteria, and essential factor is Outcome/Distribution. (2) Its enable that ranking the criteria influence on VE. These are supported VE management and using guideline of VE.

      • KCI등재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세대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경환(Gyeonghwan Seong),양성병(Sung-Byung Yang),최세연(Se Yeon Choi)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급격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있는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조직들은 조직 내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인적자원관리 전략의 하나로 직무순환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직무순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형태와 횟수 등의 형식적인 면에 치중해왔으나, 동일한 인사제도라 하더라도 구성원의 인식에 따라 태도와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직무순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직무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때 구성원의 특성 또한 함께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구성원 인식인 공정성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순환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이 각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조직이 다양한 연령대의 비동질적인 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특성 중 세대별 유형이 각각의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여부를 함께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서 근무 중인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은 조직유효성의 지표 중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는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대별 유형에 따른 차이도 보고되었는데, 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밀레니엄 세대보다는 X세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X세대보다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에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acing rapid changes and fierce compet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rganizations have actively employed job rotation as on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Job rot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employees’ perception of job rotation can significantly influenc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based on organization justice theory and aims to explore its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organization is a heterogeneous group of various age cohorts, we also investigate how different age cohorts affect this process. To test the hypotheses,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250 employees consisting of Generation X and Millennials working in domestic (South Korean)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lead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stronger in Generation X than in Millennials, while the on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s stronger in Millennials than in Generation X.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influences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ow differences in generation affect this influenc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