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 례 : 우연히 발견된 십이지장 천공 증례

        박혜민 ( Hye Min Park ),도민영 ( Min Young Do ),최세명 ( Sei Myung Choi ),양경호 ( Kyung Ho Yang ),허창재 ( Chang Jae Hur ),조광범 ( Kwang Bum Cho ) 대한췌담도학회 2015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0 No.4

        대부분의 십이지장 천공은 증상을 유발하므로 급성기에 발견된다. 그러므로 시기를 알 수 없이 우연히 발견된 만성 십이지장 천공은 드물고 치료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본 증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후에 병변이 호전되었다. 이와 같이 우연히 천공이 발견된 증례는 드물고 향후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Duodenal perforation can occur due to complications caused by ulcers, other inflammation or by the instrument used during the procedure such as endoscop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however, its incidence is not high. Most cases of perforation of the lateral wall of the duodenum are acute and require immediate surgical or endoscopic treatment. Cases of chronic duodenal perforation are rarely reported. This report presents the case of a previous perforation that was discovered unexpectedly during ERCP in a patient with cholangitis due to common bile duct stones.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perforation was unknown. After medical treatment, the patient was able to return to daily life. We have reported this case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