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우리나라 일부 폐경전ㆍ후 여성의 골밀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체형 및 식이인자에 관한 연구

        승정자(Chung-Ja Sung),백수경(Soo-Kyung Baek),이행신(Haeng-Shin Lee),김미현(Mi-Hyun Kim),최선혜(Sun-He Choi),이소연(So-Yean Lee),이다홍(Da-H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폐경전ㆍ후의 여성들의 골격 상태를 살펴보고, 일반영양소 및 isoflavones, 칼슘, 인의 섭취량이 골 밀도 및 골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폐경전 여성군 30명과 폐경후 여성군 30명 총 60명이었으며, 연구수행은 3일간의 24시간 식이섭취조사와, 신체계측, 혈액채취 및 골 밀도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폐경이전 여성군은 33.6세, 폐경이후 여성군이 63.3세이고, 폐경이전 여성군의 골 밀도는 요추 1.02 g/㎠, 대퇴경부 0.83 g/㎠이고,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요추 0.80 g/㎠, 대퇴경부0.67 g/㎠이며 폐경이후 여성군에서 T-score로 판단했을 때 골다공증군이 73.33%이고, 골감소증은 10.0%, 정상군은 16.67%이고 폐경이전 여성군에서는 골다공증군이 6.67%이고, 골감소증은 10.0%, 정상군은 83.33%이었다. 폐경이전 여성군은 단백질, 인, vitamin B₁, niacin, vitamin C의 섭취량이,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인, vitamin C가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하였으나, 폐경이전 여성군에서 총 에너지는 권장량의 84.0%, 칼슘은 권장량의 70.7%, 철은 권장량의 74.8%, vitamin B₂은 권장량의 82.3%로 섭취하였고,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총 에너지는 권장량의 79.0%, 칼슘은 권장량의 68.0%,철은 권장량의 89.1%, vitamin B₂은 권장량의 54.8%, niacin은 권장량의 86.17%로 섭취하여 특히 폐경이후 여성군에서 영양소의 섭취가 크게 부족하였다.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식물성 식품이 영양소의 섭취량에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고, 두류, 해조류의 섭취량이 폐경이전 여성군보다 유의적으로많았다. 폐경이전 여성군에서는 폐경후 여성군보다 난류, 버섯류, 어류, 유제품류, 육류, 음료류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폐경이전 여성군의 요추골밀도는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함량과 대퇴경부골밀도는 체중, BMI, 허리둘레,엉덩이둘레, 체지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제지방량, 총수분함량과는 두 부위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및 식품섭취량과 골 밀도 및 골 대사지표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폐경이전 여성에서는 모든 영양소가 골 밀도 및 osteocalcin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폐경이후 여성군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탄수화물이 요추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조사자료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폐경후 여성군의 대부분이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을 가지고 있어 심각한 상황으로 판단되었으며, 골밀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단백질, 이소플라본 등의 식이 요인들을 식품의 질을 고려하여 충분한 양으로 섭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폐경전 여성에서는 현재의 식이섭취보다는 체중, 체질량지수 등의 체형요인이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어 지나친 저체중의 선호는 폐경전 여성에 있어 골다공증의 위험율을 높일수 있으므로 올바른 체형인식 및 이를 위한 적당한 영양소섭취가 요구되어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 were 30 Korean premenopausal women with mean ages of 33.6 years, and 30 Korean post- menopausal women with mean ages of 63.3 years without diagnosed diseases. Data for food and nutrient intake were obtain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BMD of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ere measured by the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thropometric measurement were made, and a blood sample was taken for assay osteocalci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6.67% of the subjects in the premenopausal women and 87.33% of the subjects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ere classified as osteoporosis or osteopenia. The nutrient intake of the premenopausal women was adequate to the Korean RDA level excepting energy, Ca, Fe, and vitamin B₂, while that of the postmenopausal women was less than the Korean RDA level excepting phosphorus and vitamin C. In the premenopausal women, BMD of lumbar spine i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 such as weight, waist circumference, BMI, and body fat mass. BMD of femoral neck for the premenopausal women i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mass, hip circumference, and BMDs of both site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an body mass, total body water, but they are not related with intake of nutrients in this stud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group, BMDs of both site a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 but BMD of lumbar spine showed positive relation with intake of energy, protein, and carbohydrate. In conclusion, adequate nutrient intake, especially energy, protein have been suggested to prevent the loss of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Also, adequate body weight and BMI have been suggested in the premenopausal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