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경도 사계성 딸기 ‘미하’ 육성

        이종남(Jongnam Lee),서종택(Jongtaek Suh),김수정(Su Jeong Kim),손황배(Hwangbae Shon),김기덕(Kideog Kim),김혜진(Hyejin Kim),최미자(Mija Choi),김율호(Yulho Kim),홍수영(Suyoung Ho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여름재배용 사계성 딸기 ‘미하’(Fragaria × ananassa Duch.) 품종은 2019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육성되었다. 2014년 경도가 높고 대과성인 중일성 딸기 품종 ‘몬테레이’를 모본으로 하고, 경도가 높고 고온에 강한 사계성 딸기 계통 ‘새봉3호’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하였다. 2015년 파종 후 육묘하여 4월 정식하였다. 정식 후 사계성, 과실크기, 경도, 당도 등을 조사하여 사계성이며, 경도가 높고 수량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1개체를 실생선발하였다. 본 계통을 여름작형에서 2016년 우수계통 선발, 2017년 생산력검정, 2018년 특성검정, 2019년 지역적응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경도가 높고 대과성으로 품종육성 목표에 가장 근접한 이 계통을 ‘새봉 12호(15-28-57)’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9년 직무육성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미하(Miha)’로 명명되었다. ‘미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초세가 강하다. 과실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진홍색이다. ‘미하’의 초장은 대조품종 ‘고하’와 비슷하나 엽수가 적은편이다. 그러나 화방장은 37.1cm로 대조품종인 ‘고하’의 40.6cm보다 3.5cm 더 짧지만 긴편에 속한다. ‘미하’의 평균과중은 13.7g으로 ‘고하’의 9.0g보다 4.7g 더 무거운 대과성 품종이다. 또한 경도는 36.2g·mm<SUP>-2</SUP>로 ‘고하’보다 10.1g·mm<SUP>-2</SUP> 더 단단하다. ‘다하’의 상품수량은 32,990kg·ha<SUP>-1</SUP>로 ‘고하’의 21,479kg·ha<SUP>-1</SUP>보다 154% 증수되었다. 따라서 신품종 사계성 딸기 ‘미하’는 단단하여 고온기에 제과용 시장에서 큰 인기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당뇨병 환자에 대한 역학적 연구

        최미자 啓明大學校生活科學硏究所 1992 科學論集 Vol.18 No.-

        The number of diabetics in the Korea is increasing and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 are now thought to be the one of most important health problems in Korea. Of diagnosed cases of Korean diabetes, 91% are noninsulin dependent, 2.3% are insulin dependent, and 6.6% are malnutrition-related diabetes.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is heterogeneous in nature. It is well known that obesity is an import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of this type.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various faction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obesity prevalence, family history, dietary intakes, and diet change of female diabetics. One hundred and eight-one female diabetics aged 33~38 years, were interviewed at a clinic in Taegu the above f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average of daily energy intake was 1863 Kcal which is 98% of the RDA and the average intake of nutrients were above the RDA. Percentage of energy is that carbohydrate : protein : fat=63:16:21. 2) Among the subjects 44.3% are in exercise therapy, 49.3% are in diet therapy, 81.3% are on medication, and 3.4% receive insulin injection. 3) Among the subjects, 23% have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4) Among the subjects 52% are obese at present and 61% were obese in the past. 5) The mean rural experience period was 24.6±21.5 years and 35.5% of the subjects had never lived in a rural area and 32.2% of the subjects had grown up or lived less than 30 years. Body weight, height, blood pressure, income, education level and fat intak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experience period of rural living. And among the subjects, 44% was exercise regularly. 6) Of the diabetics, 71.1% decreased total caloric intake since diabetic onset, but 17.6% did not change their food habit. 7) Eventhought diabetic patients thought that diet contro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lood glucose control but only 73% maintained a controled diet. And 50% of the subjects take salty foods. Those findings suggest that diet education is needed in thi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