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추 추간공 관찰을 위한 촬영법의 고찰

        전주섭(Ju Seob Jeon),은성종(Sung Jong Eun),김혜란(Kim Hye Ran),안승현(An Seung Hyun),최남길(Nam Kin Choi),김영근(Kim Young Keu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2

        Ⅰ.목 적 : 경추의 퇴행성 질환이나 분리증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인 전·후 사방향 촬영은 45°사방향(하·상방향 tube angle 15°)으로 촬영하여 경추 추간공과 주변 구조물을 살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성인에 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 적합한 전·후 사방향 촬영 각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Ⅱ.대상 및 실험방법 : 1. 연구대상인 성인의 경추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평균 각을 알아보기 위해 C-spine MRI를 촬영한 환자 200명(남 100명, 평균 40.3세, 여자 100명 47.6세)을 대상으로 축방향 T2 강조영상에서 C2-C3부터 C7-T1까지의 평균 각을 구하였다. 2. 경추에 이상이 없는 남자 10명(평균 36.2세)을 대상으로 전·후 사방향 촬영시 경추 신경공과 정중시상면이 이루는 각도에서 실제로 추간공이 가장 크게 관찰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선식CT(QXi, GE medical)촬영을 시행하여, 축방향 영상에서 추간공이 이루는 각과 3D Raysum기법에서의추간공의 최대횡경을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경추 전후 사방향 45°, 50°, 55°(하·상방향 tube angle 15°)로 촬영한 일반촬영 영상을 PACS로 전송하여 최대횡경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Ⅲ.결 과 : 연구대상인 성인추간공의 평균 각도를 MR영상에서 측정한 결과 C2-C3, C3-C4, C4-C5, C5-C6, C6-C7, C7-T1에서의 각은 47.4°±3.3, 50.5°±2.3, 52.7°±4.2, 53.2°±1.9, 53.2°±2.3, 55.2°±2.3로 나타나 하부 경추로 갈수록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각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10명을 대상으로 CT촬영하여 Raysum 영상에서 추간공의 최대 횡경을 보이는 각도와 2D 축방향 영상에서 측정한 추간공의 각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 전·후 사방향 45°, 50°, 그리고 55°로 촬영한 일반촬영에서의 추간공의 최대횡경을 측정한 결과C2-C3, C3-C4, C4-C5까지는 각도가 5°씩 커질수록 횡경이 감소(0.11mm~0.21mm)한 반면 C5-C6, C6-C7, C7-T1에서는 횡경이 증가(0.32mm~0.91mm)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차이를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비교한 결과 하부경추로 갈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Ⅳ.결 론 : 우리나라 성인에 있어서 추간공을 관찰하기 위한 전·후 사방향 촬영각도는 상부 경추의 경우 전·후사방향 50°에서,하부 경추의 경우55°에서 추간공을 가장 크게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경추의 퇴행성 질환을 진단하는데 본 연구의 촬영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ervical spine of anteroposterior oblique view is essential to observe the intervertebral foramen (IVF). The morphologic changes of IVFs were proved to be abnormal with nerve roots and peripheral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 projection angle for observing the IVFs in the Korean adults. In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of 100 normal persons, 45°, 50°and 55°oblique views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maximal transverse diameter of all the cervical IVFs. 45°oblique views provided slightly better visualization of upper cervical level(C2-C3, C3-C4, C4-C5), but the lower cervical level(C5-C6, C6-C7, C7-T1) of IVF transverse diameters were substantially increased on the 55°AP oblique projection. In the comprasion of mean differences between 8 obese person(BMI>25) and 58 normal person(18.5<BMI<22.9) proved to b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55°AP oblique(tube angle 15°cephalad) view is optimal for evaluating the lower cervical IV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