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강선으로 긴장된 PSC 거더의 비선형 해석

        최규천,이재석,Choi, Kyu-Chon,Lee, Jae-Seo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3

        이 논문에서는 외부강선으로 긴장된 PSC 거더의 비선형 해석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강선은 정착부와 편향부에서만 부재와 일체로 거동을 하고 정착부-편향부, 편향부-편향부 사이에서 독립적인 거동을 보이는 특성으로 인해 구조물의 처짐이 증가할 경우 부재와 외부강선의 편심량이 감소하여 모멘트가 변화하는 2차 효과(secondary effect)가 발생한다. 또한 편향부에서 외부강선의 인장력 차이로 인해 슬립(slip)이 발생할 경우 외부강선의 인장력이 재분배되어 복잡한 비선형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정착부-편향부, 편향부-편향부 사이의 외부강선을 여러 개의 곡선요소로 모사하고, 편향부에서의 마찰력과 driving force(미끄러지는 힘)의 평형관계를 이용하여 외부강선의 인장력을 재분배함으로써 편향부에서의 슬립효과를 고려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외부강선의 유한요소모델과 해석방법을 저자들이 개발한 시공단계를 고려한 PSC 뼈대의 비선형 해석 프로그램에 통합하고, 외부강선으로 긴장된 PSC 보의 해석에 적용하여 외부강선에 대한 유한요소모델 및 해석방법의 정당성과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편향부의 수와 편향부에서의 마찰계수에 따른 극한거동을 검토해본 결과, 편향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PSC 보의 항복하중과 극한하중은 증가하였으며, 편향부에서의 마찰계수에 따른 극한거동은 외부강선과 편향부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부재에 전달되는 모멘트의 영향에 따라 마찰계수가 적정한 값일 경우에 극한내력이 최대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for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PSC) girders with external tendons is presented. The PSC girders with external tendons show the complex nonlinear behavior due to the slip of external tendons at deviator and the change of eccentricity between the girders and external tendons. The external tendon between anchorage-deviator or deviator-deviator is modeled as an assemblage of the curved elements. The slip effect of the external tendon at deviator is taken into account using the force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friction force and the driving force at each deviator.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analysis method of the external tendon suggested herein are integrated in the nonlinear analysis program of segmentally erected PSC frames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other investigators. From the ultimate analysis results of PSC beams with external tendons having different number of deviators, the yielding and ultimate loads of PSC beams found to be increased as the number of deviators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ultimate capacity of the PSC beam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deviator and external tendon, whereas found to decease over the certain value of friction due to the effect of the moment transmitted to the member by the friction force exerted from the external tendon.

      • KCI등재

        곡선 PSC 사장교의 극한해석을 위한 개선된 하중제어법

        최규천,이재석,Choi, Kyu-Chon,Lee, Jae-Seo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2 No.1

        이 논문에서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과 비선형 특성들을 보이는 곡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사장교의 극한거동을 안정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비선형 해법을 제시하였다. PSC 교량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 및 극한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법으로서 하중제어법(load control strategy)과 변위제어법(displacement control strategy)을 적용하였다. 콘크리트의 과다한 균열과 재료상태 및 케이블 장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불평형력(unbalanced load)이 크게 변화하여 이들 두 해법으로 해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대안으로서 불평형력을 적정한 비율로 감소시키면서 하중제어 법을 적용하여 해를 안정적으로 구해 나가는 불평형력 감쇠(scale-down of the unbalanced load)를 적용한 하중제어법을 제시하였다. PSC 거더교의 극한해석을 수행하여 불평형력 감쇠를 적용한 하중제어법의 정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선 PSC 사장교의 극한해석에 이 논문에서 제시한 비선형 해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비선형성으로 인해 해가 수렴하기 어려운 해석에도 이 해법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for the nonlinear solution strategies to predict the ultimate behavior of a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with complex geometry and highly nonlinear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The load and displacement control strategies are used and found to be stable for the nonlinear solution of the PSC bridge up to the moderately excessive load. The ultimate analysis of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using these solution strategies is not converged due to the propagation of the cracks in the wide range of the concrete elements and excessive variation of the stresses in the concrete elements and cables according to the complex geometry. The load control strategy using scale-down of the unbalanced load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case that the solution is not converged due to the severe nonlinearities involved in the PSC structures like a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Through the ultimate analysis of the PSC girder, the accuracy and the stability of the proposed solution strategies are evaluated. Finally, the numerical results for the ultimate analysis of the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using scale-down of the unbalanced load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other investigator.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nonlinear solution strategy is demonstrated fairly well.

      • PSC Ⅰ 거더의 정착부 파열거동 평가

        최규천(Choi Kyu Chon),박영하(Park Young Ha),백인열(Paik In Yeol)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0 No.3A

        이 논문에서는 경간장이 30 m인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텐던 긴장으로 인한 단부 콘크리트의 응력흐름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 한 채 설계되었고, 과대보강으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표준 PSC I 거더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실험체 3개를 제작하여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체의 파열보강철근은 100 ㎜, 200 ㎜, 300 ㎜ 간격의 격자형으로 배근되었다. 실험결과, 파열균열 긴장력은 모든 실험체에서 설계 긴장력의 1.6배 내외로 나타났고, 파열균열은 정착단부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설계 긴장력의 2.7배까지 긴장력을 도입한 결과, 파열보강철근 간격이 300 ㎜인 실험체의 일부 수평방향 파열보강철근만 항복되었다. 따라서 표준 PSC I 거더의 정착부 파열보강철근은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한하고 있는 최대 간격 300 ㎜를 만족시키는 것만으로도 파열력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bursting behavior in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span length: 30 m) has been carried out. The arrangement of bursting reinforcement in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is considered to be designed without accurately reflecting the stress flows in the end zone of the PSC I girders caused by presstressing forces of the tendons. Also, due to excessive arrangement of the bursting bars, the workability of the girder is decreased greatly. In this study, three specimens with the same dimensions as the end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 are prepared and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by applying PS forces. The bursting reinforcement of each specimen consists of 100 ㎜, 200 ㎜, and 300㎜ spacing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ange of the PS forces to cause crack in the anchorage zone of the specimen are more than 1.6 times of the design PS forces. The bursting cracks occu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all specimens. After applying 2.7 times of the design PS force, some of the transverse bursting reinforcements only in the specimen reinforced by 300 ㎜ spacing yield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nchorage zone of the standard PSC I girders arranged by 300 ㎜ spacing of the bursting reinforcements which is the maximum spacing allowed in the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can be considered safe enough.

      • KCI등재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CFRP 판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거더의 비선형 해석

        최규천(Choi Kyu-Chon),이재석(Lee Jae Seok)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0 No.6A

        이 논문에서는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CFRP 판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거더의 비선형 휨거동에 대한 해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CFRP 판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거더는 CFRP 판의 슬립(slip)으로 인해 인장력이 재분배되어 CFRP 판이 콘크리트에 부착된 경우에 비해 복잡한 비선형 거동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CFRP 판을 여러 개의 곡선 요소로 모사하고, 화이버 뼈대요소의 각 절점에서 힘의 평형 관계를 이용하여 CFRP 판의 인장력을 재분배함으로써 슬립효과를 고려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해석방법을 비부착 프리스트레스트 CFRP 판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해석에 적용하여 해석방법의 정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부착 CFRP 판의 보강시점과 보강 전후에 발생한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변형은 보의 처짐 거동에는 영향을 미치나 극한내력에는 영향을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비부착 CFRP 판으로 보강하기 전에 발생한 콘크리트의 균열유무도 비부착 CFRP 판으로 보강한 후의 보의 극한거동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 study for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of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girders strengthened with unbonded prestressed CFRP plates is presented. The concrete girders strengthened with un bonded prestressed CFRP plates exhibit more complex nonlinear behavior due to the slip between the concrete girder and the CFRP plates than the case of bonded CFRP plates. The unbonded CFRP plate is modeled as an assemblage of the curved elements both ends of which are rigidly linked to the nodes of fibered frame elements. The slip effect of the unbonded CFRP plate is taken into account using the force equilibrium relationship at each node.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the ultimate analysis results of the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unbonded prestressed CFRP plat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other investigators.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is found to predict ultimate behaviors of these beams fairly well. Additionally the time-dependent deformations of the concrete beam seems to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ultimate behaviors of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un bonded prestressed CFRP plate, and the cracks of the concrete beam which occurred before strengthening it with CFRP plate are found to have almost no influence on the ultimate capacity of the beam.

      • PSC 합성형 거더의 극한휨강도에 시공이력 및 CFRP 판의 보강이 미치는 영향

        이재석 ( Jae Seok Lee ),최규천 ( Kyu Chon Choi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2 建設技術論文集 Vol.31 No.2

        이 논문 에서는 외부 부착 보강재로 보강된 PSC 합성형 거더의 시공이력을 고려한 비선형 해석방법을 제시하고 합성형 시공에 따른 시공 이력과 CFRP 판의 보강이 PSC 합성형 거더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제 활용되고 있는 표준 PSC I 거더를 대상으로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해석방법을 적용하요 비부착 CFRP 판으로 긴장하기 전에 PSC I 거더가 일괄적으로 시공되었다고 가정한 경우와 시차를 두고 분리해서 시공 되었다고 가정한 경우에 대한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여 해석결과를 비교했다. 거더의 처짐과 합성 단면 내에서의 응력분포 및 긴장재의 인장력은 물론 휨강도가 보강재의 영향으로 개선되는 것을 정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시공이력에 따라 무사할 구 없을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CFRP 판으로 보강되는 PSC 합성형 거더의 극한 내력을 상대적으로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서는 외부 부착 보강재의 영향에 대변화를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시공간계 해석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An analytical study for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of flexural behavior of the composite concrete girder with unbonded CFRP plate is presented. In addition, effects of strengthening with CFRP plate and construction history` on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PSC composite girder is investigated. The composite concrete girders with unhanded CFI{P plates exhibit the complex nonlinear behaviors due to the errects or frictional forces between the concrete girders and the CFRP plates in addition to the usual time-dependent nonlinear characteristics or composite concrete girde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ting dates. The unbonded CFRP plate is modeled as a series of the CFRP plate segments each of which is linked to the composite concrete girder element, with slip with the frictional resistance to simulate the unbonded behavior of the CFRP plate.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a standard 30m-span PSC composite concrete gird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domestic bridge industry is analyzed considering the effect of construction history. It is found that the strengthening` with CFRP plate as well as construction history has appreciable effects on the deflections and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PSC composite girder.

      • KCI등재

        순차적으로 시공되는 곡선 PSC 사장교의 비선형 해석

        이재석(Lee Jae Seok),최규천(Choi Kyu Ch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1A

        이 논문에서는 순차적으로 시공되는 3차원 PSC 거더교 및 곡선 PSC 사장교를 대상으로 재료의 비선형성과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고려한 시간의존적 해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재료의 시간의존적 특성으로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강도증가와 PS 강재 및 케이블의 이완을 고려하였고 재료의 비선형 응력-변형률 관계와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고려하였다. 시공의 진행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재의 단면 내에서 변화하는 재료의 상태를 정확히 고려하기 위해 부재의 단면을 콘크리트 화이버와 철근 화이버로 구성된 화이버모델요소로 이상화하였고, PS 강재요소는 뼈대요소에 걸쳐 있는 직선 세그먼트로 이상화 했다. PSC 시장교의 시공단계를 표현하기 위해 시공명령을 정의하여 시공순서에 따른 구조계의 변화를 모사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시공단계를 고려한 시간의존적 비선형 해석방법을 PSC 거더교와 곡선 PSC 사장교의 해석에 적용하여 해석방법의 정당성과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A study for the time-dependent nonlinear analysis of segmentally erected three-dimensional PSC girder and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is presented. The analysis incorporates the effect of the material and geometric nonlinearity and time-dependent effects including creep, shrinkage, aging of concrete and relaxation of tendon and cable. The fibered frame element is idealized as an assemblage of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fibers to account for varied material properties within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element through elastic, cracking and ultimate load ranges. Prestressing tendon is modeled as multilinear prestressing steel segments each of which spans a frame element. Practical construction sequences for the PSC cable-stayed bridges are implemented by providing the construction commands to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e at any time step of the solution. Numerical results for the time-dependent nonlinear analysis of segmentally erected PSC girder and curved PSC cable-stayed bridg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other investigators. The validity and the capability of the present analysis method is fairly well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