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의 가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로-

        최강림,Choi, Kang-Rim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9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장소로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목형 도시상업가로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방법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대표적인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인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례대상지 개요, 가로공간구성, 건축물 용도, 가로경관, 가로시설물에 대하여 가로공간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공간 및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에 입지한 주요용도와 새로 도입된 용도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적응적 재사용 등을 통한 가로의 정체성 유지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에 의한 자생적 형성과 공공에 의한 계획적 조성의 협력이 필요하다.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s have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 preferred place for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for the making of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For that,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 in Busan, about site overview, street spatial composition, building use, streetscape and street furniture.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Stree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pedestrian space and environment. (2) The existing main use and the newly introduced use need to be coexisted. (3) The identity of the street must be maintained through adaptive reuse, etc. (4) The voluntary form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planned making of the public need to be cooperated.

      • KCI등재

        도시 내 주상복합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 부산시 '경성대-부경대역' 일대를 중심으로 -

        최강림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and design methodology for revitalization of public spaces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For the purpose, I have taken a literature research and a site analysis with cases of ‘Kyungsung Univ.· Bukyung Nat’l Univ. Station’-area in Busan City. The analysis framework was consist of spatial composition, street facilities, use behavior, and connection with the stre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t is needed to consist of an empty space practically usable in an open location that is easy to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2) Considering the use of people, it is needed to install street furniture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rest. 3) It is needed to make a plan and design that considers the access and use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space through it. 4) It is needed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in the integration of the street and the public space and the linkage with the street through this.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주상복합 건축물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설계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산시의 “경성대·부경대역‘ 일대의 주상복합건축물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틀은 공간구성ㆍ공개공지 가로시설물ㆍ공개공지 이용행태ㆍ가로와의 연계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의 접근이 용이한 개방된 위치에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필요하다. 둘째, 사람들의 이용을 고려하여 실제적으로 휴식에 이용될 수 있는 가로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일반인의 접근 및 이용행태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와 이를 통한 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가로와 공개공지의 통합과 이를 통한 가로와의 연계성에 있어서의 상승효과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사례연구

        최강림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1

        The result of efforts for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have not been satis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on planning and design method for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Korean cities. For that,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on public spaces in ‘Quincy Market’ and ‘Granville Island Public Market’.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various spaces and facilities that make up the traditional market show a synergistic effect through linkage. (2) Various public spaces for traditional market users have been made in market buildings and open spaces. (3) Food and beverages sold in traditional markets can be eaten in public spaces, and meetings, breaks, performances and events are held in public spaces. (4) A company or non-profit organization with unified executive power is in charge of or participating in market operation. 도시의 대표적 공공장소인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해 왔으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시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설계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통시장 재생의 선진사례로 알려진 보스턴 ‘퀸시마켓’과 밴쿠버 ‘그랜빌 아일랜드 공설시장’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 및 시설은 연계를 통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전통시장 이용객을 위한 다양한 공공공간이 시장건물과 오픈스페이스에 조성되었다. 셋째, 전통시장에서 판매하는 음식·음료를 공공공공에서 취식할 수 있으며, 만남, 휴식, 공연 및 행사가 공공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단일화된 집행력을 갖는 회사 또는 비영리주체가 시장운영을 담당하거나 참여하고 있다.

      • KCI등재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의 리모델링 사례연구 - 부산시 ‘구포새뜰마을’과 ‘해리단길’을 중심으로 -

        최강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적응적 재사용과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단독주택의 리모델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부산시의 단독주택지인 ‘구포새뜰마을’과 ‘해리 단길’을 대상으로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 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에 의해 주민 공간 및 시설로 리모델링된 건축물은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속적인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민간에 의해 상업용도로 전용된 단독주택지의 건축물은 주거 및 상업용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단독주택지 전체 차원에서 가로 및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및 설계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 하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nd need for adaptive reuse and remodeling as a method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ial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remodeling of detached house for adaptive reuse in Korea.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modeling in ‘Gupo-Saetulmaul’ and ‘Haeridan-gil’ in Busan City.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Program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buildings are needed. (2) Coexist between residential and commercial use is needed. (3)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esigning street and building remodeling is needed at the level of the entire detached housing site.

      • KCI등재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 사례연구

        최강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0

        It is needed to regenerate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through to invite new industry and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suggestions on the urban regeneration for the districts. I have taken a literature research and a site analysis with cases of ‘the South Lake Union’ in Seattle and ‘Pearl District’ in Portland, USA.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1) The land use was changed to mixed use of business-commerce-recreation. The building use was changed to facilities for work, play and live. (2) Infrastructures were improved for user oriented facilities such as pedestrian friendly street, public parks & open space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life supporting facilities. (3) The place identity was enhanced through the preservation of urban structure-tissues, renovation of existing buildings,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s. 도심의 노후‧쇠퇴한 산업지구는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새로운 산업의 유치와 도시환경개선 등의 도시재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국외 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의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첨단산업과 문화산업을 유치‧도입함으로써 도시재생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 시애틀의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과 포틀랜드의 ‘펄 디스트릭트’를 사례로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용도는 업무‧상업‧주거의 복합용도로, 건축물 용도는 업무시설‧상업시설‧위락시설‧주거시설 등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보행 친화적 가로환경,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대중교통시설, 생활지원시설 등 이용자 중심의 기반시설이 확충되었다. 셋째, 기존 도시구조 및 조직 유지, 건축물 리노베이션, 산업유산의 보전 등을 통한 장소정체성 제고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최강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1

        Waterfront revitaliza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of harbor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to regenerate the downtown of harbor city.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Darling Harbour in Sydney and Rose Kennedy Greenway in Bost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land use, buildings and facilities for leisure and amusement that provide public access and various experiences were constructed and historical heritage was actively utilized. (2) The open spaces in various sizes 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waterfront walkways, parks, plazas and green spaces were created. (3) The connection between downtown and waterfront was improved in terms of pedestrian space and townscape in order to create synergistic effect between downtown and waterfront. 항만과 성쇠를 함께 해 온 항만도시의 도심재생에 있어서 수변공간재활성화의 중요성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친수공간의 공공성과 도심과의 연계에서 대표적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는 시드니 ‘달링하버’와 보스턴 ‘로즈 케네디 그린웨이’를 대상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이용에 있어서는 공공성과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여가‧위락을 위한 건축물과 시설을 조성하고 역사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친수공간조성에 있어서는 수변보행로와 공원‧광장‧녹지 등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오픈스페이스와 가로시설물을 조성하였다. 셋째, 도심연계에 있어서는 보행 및 도시경관 차원에서 도심과 수변공간의 적극적인 연계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한 도심과 수변공간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