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동아시아 실학 속의 형이상학―方以智, 崔漢綺를 중심으로"

        채진풍 ( Chen-feng Tsai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17세기 동아시아 정치와 학술의 변화로부터 접근하여 실학사조의 흥기 및 그 형이상학적 발전을 다룬 것이다. “실학”이라는 용어 사용의 연원은 12세기 중국 유학자 葉適(1150-1223)의 『習學記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본래는 “공허한 담론인 심성론의 허학”과 상대되는 것으로, “구체적 실천”과 “경세치용”을 강조하는 정치적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실학사조의 전개는 17세기에 시작되었고, 당시 실학자들은 새로운 유학적 해석을 내놓는 것 외에도 서학, 서교 및 예수회 선교사가 유입한 세계지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것의 확대 발전 과정 또한 만청이 중국의 지배자가 된 동아시아의 중차대한 사건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었다. 본고는 실학사조에 대해 송대 유학부흥 운동 후 재차 일어난 또 한 번의 운동이라고 보고, 시대변화와 서학충격에 직면하여 새로이 유학사상을 개조하려는 시도였다고 의의를 부여하였다. 실학사조의 혁신운동은 주로 “道德實踐”, “政治實證”과 “知識實證” 세 방면으로 나타났다. 송명 성리학에서 “정치실증”과 “지식실증”은 대체로 “도덕실천”의 연장선으로 간주되었으므로 독립적 지위를 지니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정치실증”과 “지식실증”이 토론의 초점을 이루었다. 실학발전 과정 중 유학자들은 또한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도덕실증”, “정치실증”과 “지식실증” 세 분야의 학문에 대한 통섭을 시도했다. 이러한 작업은 신유학의 발생에도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바, 가령 현대학자 牟宗三또한 이에 대해 토론한 바가 있다. 실학 속에 나타난 형이상학의 새로운 진전을 설명하기 위해, 본고는 17세기 중국 유학자 方以智(1611-1671)와 19세기 조선 유학자 崔漢綺(1803-1877)의 저술을 예를 들었다. 그들 유학사상의 형이상학이 각종 학문을 통섭한 점, 서양의 근대성을 비판 성찰한 점, 그리고 그것의 의의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ise and the development of metaphysics of East Asian Sihak movement in the view of East Asia’s political and academic chang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Sihak (實學),” a term first applied in Records of Practice and Learning (Xixue Jiyan, 習學記言) by the twelve century Confucian Ye Shi (葉適, 1150-1223), in contrast with “the hollow learning of human nature and mind,” put its emphasis on “real practices” and “the application of Chinese morality to practical affairs through statecraft(經世致用)”. The Sihak movement, nonetheless, starting at the seventeenth century, in addition to its new interpretations of Confucianism, was relevant to the study of the new importation of western science and Christianity and to the world map brought by missionaries, and its expansion was related to Manchu’s conquer of China. The Sihak movement, as a new movement of reacting to the western impact and of reconstructing Confucianism, was able to be seen as one next revolution after the revival of Song Confucianism. This revolution had three main dimensions: moral practice, political practice, and intellectual practice. Traditionally, in Song and Ming Confucianism, political practice and intellectual practice were treated as a branch of moral practice, hence without independent value. Sihak, however, focused on these two practices, and some Confucians tried to unite three dimensions through metaphysical construction, which also shed some light on modern Confucians, including Mou Zongsan(牟宗三). In order to explain this new development of Confucian metaphysics, this paper takes a seventeen-century Chinese Confucian Fang Yi-zhi(方以智) and a nineteen-century Joseon Confucian Choe Han-gi(崔漢綺) as examples to exhibit the meaning of their metaphysics that united various fields of knowledge and critically rethought western modernity.

      • KCI등재

        주자(朱子)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서의 이기(理氣) 문제와 조선 유학자의 해석

        채진풍 ( Tsai Chen-feng ) 퇴계학연구원 2019 退溪學報 Vol.145 No.-

        朱熹(1130~1200)는 ‘中和新說’을 완성한 뒤에 ‘心統性情’의 이론적 구조를 확립하였다. 心이 性과 情을 통섭한다는 주장의 구도에서 주희의 공부론은 ‘未發’ㆍ‘已發’ 두 방면으로 논의될 수 있다. 그러나 ‘心統性情’과 ‘理/氣’ㆍ‘人心/道心’설은 동일한 이론의 위치에 놓고 보면 거기에는 주희가 명확히 설명하지 않은 이론적 문제가 다분히 존재하는 데, 그로 인해 후대의 학자들이 해석상의 다양한 이견을 내놓게 되었다. 주자 및 그 후학들의 논쟁의 소재를 해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주자학의 입장에서 주희ㆍ陳淳(北溪, 1484~1544)과 조선의 유학자인 李退溪(滉, 1501~1570)ㆍ李栗谷(珥, 1536~1584)ㆍ丁茶山(若鏞, 1762~1836)의 관점을 토론하고 이로써 문제의 소재 및 그 가능한 발전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퇴계와 이율곡, 그리고 정약용이 주희가 말한 것에 대해서 해석하고 수정한 내용을 통해 보면, 주희가 말한 理는 확실히 모종삼이 말한 것과 같은 “理는 단지 존재하고 활동하지는 않는다”와 “理가 정태적 존재의 리가 된다” 라는 의심을 낳기 쉽다. 그리고 퇴계와 율곡이 주희가 말한 것을 수정한 내용이 비록 같진 않더라도, 그들은 대개 마음이 ‘선을 알고 악을 알 수 있는 것’은 ‘격물궁리‘의 과정을 통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리고 모두 마음이 理와 氣 사이를 주재한다는 뜻을 강조한다. 이는 중국의 양명학 발전과도 그 방향성을 같이하는 것이다. 이퇴계와 이율곡이 朱子學을 해석ㆍ수정한 것에 따라, 정약용이 이기론 혹은 주희의 형이상학에 반대하는 논점을 형성한 것 또한 자연스러운 일인 듯하다 After acquiring his new understanding of “Zhong He,” Zhu Xi completes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that mind combines Nature and Sentiment (xin tong xing ching 心統性情), which makes him be able to develop a twofold discourse on the “manifest” (yifa 已發) and “not-manifest” (weifa 未發) mind in self cultivation. When applying the same theoretical principle to compare the above theories of Zhu xi, however, there are unsolved problems that give rise to later-day disputes. In order to clarify the problem of these disputes, this paper, in the light of East Asian schools of Zhu Xi, studies the idea of Chinese scholars, Zhu xi and Chen Chun (Beixi, 1484-1544), and Joseon Confucians, Yi Toegye (Hwang, 1501-1570), Yi Yolgok (I, 1536-1584) and Jeong Yakyong (Dasan, 1762-1836). Through this study, we concludes that, by observing Joseon Confucians’ interpretation and rectification of Zhu Xi, the Principle (li 理) in Zhu Xi’s theory is easily in the danger that, called by Mou Zongsan, “being existent without functioning” or “being a statically existential principle.” Yi Toegye and Yi Yolgok both agree that the ability of human mind to know good and evil does not need to be cultivated by the method “Study the Phenomena of Nature and comprehend the Whole Truth (gewu qiongli 格物窮理).” They put their emphasis on the authoritativeness of human mind between Li and Chi, which exhibits a trend the same with Wang Yangming School in China. At last, Jeong Yakyong, absorbing theoretical resource of the above two predecessors, opposes the metaphysics of Zhu X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