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

        차현수(Hyun-Su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코로나19 상황에서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2일부터 3월 12일까지 자기기 입식 설문지로 설문 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2.0 (fr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 평균 점수는 31.36±24.00(범위: 0∼150) 이었다. 정신 건강과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신 건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정신 건강과 수면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수면의 질이었다. 스트레스, 수면의 질은 정신 건강에 41.6%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스트레스, 수면의 질이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 정신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의 의미있는 변수들을 반영한 정신 건강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130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one university from March 2nd to 12th,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ean score for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was 31.36±24.00 (range:0∼150).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ental health and stres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ental health and the stress coping styl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ental health and the quality of sleep. Thus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the subjects were stress and the quality of sleep. It was observed that these factor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1.6%.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stress and the quality of sleep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mental health. Further research on the reduction of str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is warranted.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addresses these significant variabl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who are facing the stress due to COVID-19 pandemic.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끼치는 영향

        차현수(Hyun-Su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는 전라남도에 소재한 1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 (frequency, indepanta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fu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정신 건강 평균 점수는 1.74±0.73점 (범위:0-4)이었고 대학생활 적응 평균 점수는 3.22±0.53 (범위:1-5)이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신 건강(β=-.62, p <.001)과 일반적 특성 중 정신질환 이환 유무(β=-.21, p =.018)는 대학생활 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정신 건강은 대학생활 적응에 38.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정신 건강과 정신 질환 이환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정신 질환에 이환된 학생을 먼저 선별하고 정신 건강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한 후 정신 질환에 이환된 학생들에게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tal health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23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located in Jeollanam-do from March 1, 2022, to March 20,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WIN program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s of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were 1.74±0.73 (range:0-4) and 3.22±0.53 (range:1-5). Mental health (β=-.62, p <.001) and contraction of mental illness (β=-.21, p =.018) negatively influenced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ntal health accounted for 38.2% of the variance i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is study concluded that mental health negatively influence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help nursing student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a program that first selects mentally ill students and then improves mental health needs to be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for students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 KCI등재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 외 논문 분석

        차현수(Hyun-Su Cha),황성우(Sung-Woo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문헌 검색은 치매, 알쯔하이머, 알츠하이머, 낙상, 낙상예방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4u.net),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http://kiss. kstudy.com)와 pubMed, CINAHL을 통해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였다. 전자 자료를 검색한 후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하여 선별한 13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중재분야는 운동 치료(8편, 61.5%),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2편, 15.4%), 보완대체요법(2편, 15.4%), 음악 치료(1편, 7.7%)이었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 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2편, 8점인 연구가 5편, 7점인 연구가 6편이었다. 낙상예방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재시간은 1회당 평균 55분을 시행하였고 중재 총 시행 횟수는 평균 37회이었다. 분석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운동 치료(타이치 포함), 음악 치료,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 율동 동작 치료 등이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에 의한 낙상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interventional studies to prevent falling in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determine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falling. Existing report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2000 and December 31, 2016 were searched electronically using the RISS, National Library, KISS, PubMed, and CINAHL database with the keywords dementia, Alzheimer`s or Alzheimer`s disease, falling, and prevention of falling. After checking the original sources of the articles, 13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Therapeutic interventions used in the articles included exercise therapy (8, 61.5%),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2, 15.4%), complementary therapies (2, 15.4%), and music therapy (1, 7.7%).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pers using a checklist of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 two studies scored 9 out of 10 points, five studies scored 8 out of 10, and six studies scored 7 out of 10. Intervention sessions were conducted for 55 minutes, on average, for a total of 37 sessions. This study found that exercise, music therap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rhythmic motion therapy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falling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nurses in a clinical sett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현수(Hyun Su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행위, 스트레스, 자아효능감이 간호대학생 1, 2 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1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2.0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 평균점수는 75.85±9.43 (범위:25~125) 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트레스는 자아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건강증진행위 (수면시간, 간식섭취, 음주, 취미활동),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이었다. 덧붙여 건강증진행위,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은 대학생활 적응에 13.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건강증진행위(수면시간, 간식섭취, 음주, 취미활동),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은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후속 연구에서는 건강증진행위와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의 의미있는 변수들을 반영한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adjusting to the university life of freshmen and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that were filled out by 150 nursing students in one school from November 1, 2018 to November 20, 2018.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2.0 program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score of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75.85±9.43 (range: 25~125).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stres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and self efficacy.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ress and self 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of freshmen and sophomore nursing students to university life were health promoting behavior (sleeping time, snacks, drinking, and leisure time or having a hobby), stress and self efficacy. In addi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stress and self efficacy accounted for 13.9% of the variance in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 promoting behavior, stress and self efficacy are important to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freshmen and sophomore nursing students. Further research on improv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self efficacy is warranted.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includes these significant variables of such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adjusting to the university life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조현병 치료보조제로서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국내외 논문분석

        차현수(Hyun-su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치료 보조제로 오메가-3 지방산을 사용하기 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이 조현병 환자와 조현병이 유도된 동물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문헌 검색은 ‘오메가-3 지방산’ ‘Omega-3 Fatty Acids’, ‘Docosahexaenoic Acids’,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조현병’, ‘schizophrenia’ 등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 교육 학술 정보원, 국회 도서관, Pubmed, CINAHL 등을 통해 200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논문을 검색하였다.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한 후, 선정한 9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3편, 8점인 연구가 5편, 7점인 연구가 1편 이었다. 오메가-3 지방산 투여량은 1g/일 - 4g/일 이었고, 투여 횟수는 1회/일 - 2회/일 이었고, 투여 기간은 12주, 16주, 26주, 2년 동안 또는 조현병이 재발할 때까지 이었다. 분석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오메가-3 지방산은 정신 증상, 뇌 , 혈액 등에 변화를 일으켜 조현병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향후 조현병 치료보조제로 오메가-3 지방산이 이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o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animals induced by schizophrenia, in order to use omega-3 fatty acids as a supplement for treating schizophrenia. Literature searches included article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20, and search terms included the terms “Omega-3 fatty acids”, “Docosahexaenoic Acids”,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and “Schizophenia”. After the original articles were reviewed by the researcher, nine papers selected by me were finally analyzed.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s checklist was applied for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pers. From a total of 10 points, three studies scored 9, five studies scored 8, and one study scored 7. Omega-3 fatty acid dose administered was 1g/day-4g/day for a duration of 12 weeks, 16 weeks, 26 weeks, 2 years, or until schizophrenia recurred. Our analysis revealed that administering omega-3 fatty acids reduces the symptoms of schizophrenia by altering the psychological symptoms, and the physiology of the brain and blood. We believe that omega-3 fatty acid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supplements to treat schizophrenia.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만환자의 비만감소를 위한 침술요법에 대한 국내외 논문 분석

        차현수(Hyun-Su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환자의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침술요법의 현황을 파악하고 침술요법의 내용과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문헌검색은 ‘비만’, ‘침’, ‘이침’, ‘전기침’ 등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학술정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Pubmed, CINAHL 등을 통해 200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논문을 검색하였다.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한 후, 선정한 19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하였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1편, 10점 만점에 7-8점인 연구가 15편, 10점 만점에 6점인 연구가 2편, 10점 만점에 3점인 연구가 1편이었다. 침술요법의 내용을 파악한 결과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혈점은 shemen, hunger, LI-11(Quchi), LI-4(Hegu), St-25(Tianshu), St-44(Neiting) 등이었다. 침술요법 총 시행 횟수는 평균 16.9회이었고, 침술요법 중재 기간이 20일 혹은 72일인 연구에서의 침술요법 중재 빈도는 1회/1-2일이었고, 침술요법 중재 기간이 4-18주인 연구에서의 침술요법 중재 빈도는 1-3회/주이었다. 분석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침술요법은 신체계측수치의 감소, 혈당 및 혈중 지질 농도의 감소, 혈중 호르몬 변화 등을 일으켜 비만환자의 비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향후 비만환자의 비만감소를 위한 침술요법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잘 설계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acupuncture therapies in reducing obesity in obese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scheme and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herapies. Existing report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2003 and December 31, 2017 in Kiss,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Pubmed and CINAHL databases were searched electronically with the keywords obesity, acupuncture, auricular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After checking the original sources of the articles, 19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In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pers using a checklist from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 one study scored 9 out of 10 points, 15 studies scored 7-8 out of 10 points, two studies scored 6 out of 10 points, and one study scored 3 out of 10 points. In the acupuncture therapy schemes, acupoints to reduce obesity included shemen, hunger, LI-11 (Quchi), LI-4 (Hegu), St-25 (Tianshu) and St-44 (Neiting). Acupuncture therapies were conducted for an average of 16.9 total sessions. In the studies that involved 20-day or 72-day duration for acupuncture therapies, the frequency of acupuncture therapies was 1 time/1-2 days. In the studies that involved 4- to 18-week duration for acupuncture therapies, the frequency of acupuncture therapies was 1-3 times/week. This study found acupuncture therapies were effective in reducing obesity, and acupuncture therapies reduced anthropometry, blood glucose and lipids and changed blood hormones. In the futu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well-planned studies of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herapies for reducing obesity in obese patients.

      • KCI등재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우울, 혈당, 혈중 지질 등에 미치는 효과

        차현수(Hyun-su Cha),이숙(So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정신적, 생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53명의 사무직 근로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대상자들은 2그룹(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무작위 할당은 Microsoft사의 Excel 2010 program RAND 함수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8주 실험 동안 실험군에게 1회기 당 90분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전과 실험 8주 후에 모든 대상자들의 변수들(스트레스, 우울, 혈당, 총콜레스테롤, HDL-C, LDL-C)을 측정하였다. 실험 전부터 실험 완료 후까지 변수들의 변화가 계산되었다. 자료는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다. SPSS 21.0이 통계 분석에 이용되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졌다(z=-4.57, p< .000). 결론은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우울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사무직 근로자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요법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of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for major company white-collar workers. Fifty three White-collar Workers participated in study.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random order. Random order is used Excel 2010 program RAND function of Microsoft. During the eight-week trial,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weekly for 90 minute per session. The control group wasn’t treated. Measurements of variables (stress, depression,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 and LDL-C) were performed at weeks 0 and 8 for all participant. Changes in variables were calculated from baseline to trial comple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4. SPSS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z=-4.57, p< .000). Conclusion of the study suggest the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ression. We expect that the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will become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of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e white collar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