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 단행본 표지디자인 표현 분석 연구

        진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Recently, the book market has been booming for a while with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books. In the case of book cover design, it should be a design through a scientific approach by grasping the needs and psychological tendencies of readers because it includes all sorts of roles such as promotion, marketing, aesthetics, protection function, and story implication. The Gestalt Theory is based on the basic notion of perception, not part, but of the simplest form that the human brain can accommodate.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Gestalt's morphological perspective for the scientific approach of label design which plays various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alt and label design,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book cover design applying Gestalt's poetic perception of law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 sample of the case was extracted by the cover design in the new and best-sellers category at the online representative bookstore, and the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xamples of cover design include the principle of proximity, similarity, continuity, closeness, foreground and background, and simplicity. It was confirmed that these rules enabled us to transmit clear information, and that it was confirmed that we could induce gaze and give visual fun.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estalt's visual perception law in the visual formative elements of cover design. Especially, in the case of cover design with a marketing element, it should be based on a psychological approach based on Gestalt's poetic perception principle rather than a design based on a momentary idea and expression ability. This kind of design with a sense of purpose will make the concept more attractive and clear, and I hope that it will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book's sales growth. 최근 새로운 형태의 도서들이 등장하면서 잠시 주춤했던 책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표지디자인의 경우 홍보·마케팅, 심미성, 보호의 기능, 스토리의 함축 등 다양한 측면으로서의 역할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독자의 욕구와 심리적 성향 등을 파악하여 과학적인 접근을 통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게슈탈트의 이론은 부분이 아닌 전체로 지각한다는 기본적 원리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뇌가 수용하기 쉬운 가장 단순한 형태로 정리하려는 속성이 있다. 이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표지디자인의 과학적 접근을 위하여 게슈탈트의 형태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게슈탈트의 시지각 법칙을 적용한 단행본 표지디자인의 대표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표지디자인과 게슈탈트가 어떠한 연관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고, 소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의 표본은 온라인 대표서점인 교보문고에서 신간과 베스트셀러 카테고리 내 표지디자인으로 추출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표지디자인의 사례들에서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인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 전경과 배경, 단순성의 법칙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법칙들로 인하여 명확한 정보전달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었고, 시선의 유도와 시각적 재미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표지디자인의 시각적 조형요소에서 게슈탈트의 시지각 법칙의 효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마케팅적 요소가 다분한 표지디자인의 경우 더욱더 순간적인 아이디어와 표현능력에 의한 디자인이 아니라 게슈탈트의 시지각 원리에 의한 심리적 접근에 기반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합목적성을 가진 디자인을 한다면 더욱더 매력적이면서도 명확한 컨셉의 디자인이 될 것이며, 도서의 매출신장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