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모델링 및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지적장애인 대상 특수체육 연구의 동향 분석

        진주연 ( Jooyeon Jin ),김은혜 ( Eunhye Kim ),윤지은 ( Ji Eun Yun ),김지안 ( Jia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특수체육에 관한 연구의 주요 주제와 흐름을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먼저, 지난 20년간의 국내·외 지적장애인 대상 특수체육 관련 연구를 추출하고자 ‘지적장애’. ‘정신지체’, ‘체육’, ‘,신체활동’, ‘스포츠’, ‘운동’, ‘무용’ 등의 주요어들을 교차 적용하였다. 국내·외 특수체육 연구 관련 학술지들을 대상으로 Phython 3.7 Package를 이용한 LDA 알고리즘 기반토픽모델링 분석과 R프로그램 KoNLP와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국내·외 각각 9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국내 연구의 토픽은 ‘교육적 접근’, ‘운동수행능력’, ‘유산소운동’, ‘중재와 평가’, ‘참여대상별 유형’, ‘신체활동 참여’, ‘적응행동기술’, ‘인지능력’, ‘신체조성과 복합운동’이며, 국외 연구 토픽은 ‘비만 예방을 위한 심리요인과 체력’, ‘신체활동 결정요인과 중재’, ‘운동 발달’, ‘운동의 효과’, ‘운동능력 측정’, ‘참여대상별 유형’, ‘운동 프로그램 참여’, ‘체력증진’, ‘심동, 인지, 정의적 특성’으로 명명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국내·외 연구 모두 ‘아동’, ‘청소년’, ‘성인’을 중심으로 ‘건강관련체력’, ‘신체조성’, ‘운동수행능력’, ‘운동기술’의 연결망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특히, 국내 연구에서는 뇌파훈련, 연산운동과 같은 인지기능 관련 노드가 프로그램에 연결되어있었고, 국외 연구의 경우 스페셜올림픽 참여, 통합스포츠, 훈련과 같은 스페셜올림픽 관련 노드가 프로그램에 연결되어 있어 국내·외 연구 주제와 흐름, 경향의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인의 연령에 따라 다양한 특수체육에 관한 연구 주제와 흐름, 지식의 연결구조가 어떻게 국내·외 문헌에서 집적되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연구 동향을 참고하여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촉진과 건강증진을 위한 후속 연구의 노력이 국내에서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research tren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APA) for individual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ID). We extract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 APA for people with ID over the past 20 years, and key words such as ‘intellectual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phys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sports’, ‘exercise’ and ‘dance’ were cross-applied. A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the LDA algorithm using Python 3.7 Package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the R based KoNLP and UCINET programs were conducted for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related to APA research. As a result, nine domestic and nine foreign topics were extracted respectively. Domestic topics included ‘educational approach’,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erobic activity’, ‘mediation and evaluation’, ‘type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daptive action skills’, ‘cognitive ability’, and ‘body composition and combined exercise’. Foreign topics contain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fitness for prevention of obesity’, ‘determinants and meditations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development’, ‘effects of exercise’, ‘measurement of motor skills’, ‘type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physical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psychokinetic, cognitive affective’.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rmed a network of “health-related fitness”, “body composition”,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motor skill”, focusing on “children,” “youth” and “adult”. In particular, domestic studies showed node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s, such as brainwave training and computational practice, were connected to the program, and foreign studies revealed that nodes related to Special Olympics, such as Special Olympics participations, unified sports, and training were connected to the program. This shows differences i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opics and trend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w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summarized how the research topics, flows, and connections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PA, considering age of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aggregated i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in Korea make further effort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improve health of individuals with ID.

      • KCI등재

        뇌병변 장애인의 건강관심도가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건강관련 행동의 매개효과

        김정자 ( Jeongja Kim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4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비교할 때 건강에 대한 격차를 경험한다. 이러한 격차의 잠재적인 이유는 장애인의 건강은 비장애인보다 더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되는 복잡한 구조와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의 ICF 모델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큰 뇌병변 장애인 표본을 활용하여 그들의 건강관심도와 건강 수준의 관계에서 건강관련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뇌병변 장애인 중 연구의 목적에 맞는 632명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건강관심도가 건강 수준과 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기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건강 수준에 대한 건강 관련 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를 좋게 평가하였으며, 건강관리 운동에 더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심도와 주관적 건강평가에 대해 건강관리 운동의 부분매개효과(β=.011, 95% CI=.003~.023)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건강관심도는 건강관리 운동을 증진하며, 건강관리 운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 장애인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심도와 건강관리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과의 연계 및 지속적인 참여에 관한 추가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health disparities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disabilities. A potential reason for this disparity is that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a complex structure and system that is influenced and determined by more various factors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related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self-rated health using a relatively large sample of people with brain injuries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CF model. Data from 632 people with brain injuries who met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those with brain injur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disability survey were selected for this secondary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for the effect of health concern on self-rated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related behavior on self-rated health was analyzed through bootstrapping based on the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health concern, the better the self-rated health, and the more health management exercise. Al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β=.011, 95% CI=.003~.023) of health management exercise on health concern and self-rated health.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health concern promotes health care exercise, and health care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connection wit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may be necessar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exercise and health concern that affects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brain injuries.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촉진을 위한 MGB 기반 부모지원의 이해

        이성모 ( Seongmo Lee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목표지향행동이론(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을 바탕으로 부모가 학령기 발달장애 자녀에게 어떻게 신체활동을 지원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발달장애 자녀를 위한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 행동의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영향력과 설명력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부모의 신체활동 지원이 자녀의 실제 신체활동량을 얼마나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학령기 발달장애인(만 7세 이상 18세 미만)의 부모였다. 편의표집추출법을 이용하여 재활체육센터, 특수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인치료센터를 통해 총 307명의 부모를 모집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7문항, MGB관련 20문항, 부모지원 7문항, 신체활동 10문항 총 44문항으로 구성된 지필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 1개 이상을 가진 23명의 설문 자료를 제외하고 284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PSS(25.0)와 Mplus(8.6)를 활용하여 경로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예기정서(β=.35, p<.001), 지각된 통제감(β=.33, p<.001), 태도(β=.13, p<.05), 부정적 예기정서(β=.11, p<.001)는 열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설명력은 52%로 나타났다. 열망(β=.31, p<.001)은 행동의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했고 설명력은 9%로 나타났다. 지각된 통제감(β=.31, p<.001)과 행동의지(β=.28, p<.001)는 부모지원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고, 부모지원(β=.36, p<.001)은 실제 자녀의 신체활동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GB는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지원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임이 밝혀졌다. 발달장애 자녀의 신체활동 참여를 늘리기 위해 부모의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통제감, 열망, 의지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arents support physical activity for their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Predi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and their influences and explanatory pow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much parental physical activity support predicts their children's actual physical activi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7 to 18)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A total of 307 parents were recruited through rehabilitation sports centers,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therapy center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per-bas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44 questions, including 7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0 questions on MGB, 7 questions on parental support, and 10 ques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the final analyses, data of 284 participants people were used, except for data of 23 parents who had one or more missing value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Mplus (8.6). As a result of the study,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β=.35,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33, p<.001), attitude (β=.13, p<.05), negative anticipatory emotions (β=.11,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desir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2%. Desire (β=.31,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9%.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31, p<.001) and behavioral intention (β=.2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upport behavior, and parental support behavior (β=.36,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ctual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their childre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GB is an useful theo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arental suppor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s and strategies to improve parental attitudes,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negative anticipatory emotion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esire, and behavioral intention may be necessary.

      • KCI등재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화 및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김지안 ( Jian Kim ),윤지은 ( Ji Eun Yun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과 학계에서 전문 용어로 정립되지 못한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을 개념화하고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원리를 적용한 실천적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다년간 무용수업 경력을 가진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조사(modified delphi survey)’를 실시하였다. 이에 개념적, 실천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첫째, 장애인무용교육은 특수성으로 무용수업의 차별화된 전략을 요구하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수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여 무용의 다양한 경험과 가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맞춤형 무용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장애인무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로 인한 제약 없이 누구나 ‘무용소양(dance literacy)’을 함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반성적 무용수업의 ORDER 모델(최의창, 2009; Lavender, 1996)과 문화예술교육표준 (무용교육)(서예원 외, 20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을 기초로, 장애인무용교육에 적합하도록 교육 영역을 ‘표현(춤추기)’, ‘창작(춤만들기)’, ‘감상(춤읽기)’, ‘소통(춤나누기)’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무용수업에 모든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무용교육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하여 ① 공평한 수업 설계, ② 상황별 융통성, ③ 간단하고 직관적인 교수, ④ 다양한 표현 수단, ⑤ 실수에 대한 포용력, ⑥ 학습자의 신체적·인지적 특성 고려, ⑦ 무용수업을 위한 적절한 환경의 일곱 가지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무용교육에서의 ‘인지적 표상 수단’, ‘전략적 표현 수단’, ‘정서적 참여 수단’을 ‘접근’, ‘구축’, ‘내재화’의 실행 단계에 맞추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인무용교육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는 무용수업의 특정한 방법이나 테크닉이라기보다는 교수자의 노력과 학습자의 주도성이 시너지를 내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전인적 관점이자 패러다임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무용참여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community dance)’ 또는 ‘특수무용 교육(special dance education)’이라는 광의적인 개념으로부터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과 보편적 학습설계를 제안함으로써 예비 무용교육자를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현장에서의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dapted dance education', which has not yet to be established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and to propose practical guidelines for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modified delphi survey with experts in dance education and professionals who had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s well as advice from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This allowed the following results to be presented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First, adapted dance education is defined as individualized dance education to reach various experiences and values of dance by applying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hose who need tailored educational strategies due to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The ultimate goal of adapted dance education is set to foster 'dance literacy' without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due to the disability conditions.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domains suitable for adapted dance education such as "expression (dancing)," "creation (dance making)," "appreciation (dance reading)," and "communication(dance sharing)" based on ORDER model (Choi, 2009; Lavender, 1996). Second, this study proposed seven UDL principles : ① equitable class design ② contextual flexibility ③ a simple and intuitive teaching ④ various expression tool ⑤ tolerance for mistakes ⑥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⑦ appropriate environment for dance clas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so that all learners with/without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in the dance classes. In addition,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align 'cognitive representation means', 'strategic representation means' and 'emotional participation means' with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approach', 'construction' and 'internalization' in adapted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probably appropriate to view UDL as a whole perspective and paradigm in which the teacher's efforts and learner's initiative can create synergy and grow together, rather than a specific method or technique of danc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adapted dance education' with UDL is a better approach than the broader concepts of 'community dance' or 'special dance education.' This finding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indicates a direction for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raining pre-service dance educators and providing practical teaching guidelines in the field of dance.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배명진 ( Myeongjin Bae ),이후경 ( Hookyung Lee ),김정자 ( Jeongja Kim ),이성모 ( Seongmo Lee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4

        매년 장애인체육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스포츠 선수를 위한 연구기반 과학적 훈련과 지원체계 구축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김지태, 홍미화, 오아라, 서은철, 2016; 김태홍, 박철형, 제갈윤석,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수행된 연구 결과를 데플림픽, 스페셜올림픽, 패럴림픽으로 나누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장애인스포츠과학의 필요성과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은 PICO-TSS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를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cademic Search Complete을 이용하여 198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출판된 국문 또는 영문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의 경우 세 가지 주요대회를 기본으로 장애인선수, 장애유형, 경기력 관련 용어를 서로 조합하여 검색을 진행하였다. 문헌선정 흐름도(PRISMA)에 따라 1차 검색된 1808편의 논문은 최종 26편의 논문으로 추출되었다. 최종 선정된 논문 중 6편의 무작위대조실험설계 논문은 Cochrane's Risk of Bias Tool을 이용하여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시행하였다. 패럴림픽 논문 총 16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총 7편, 데플림픽 논문 총 3편이 추출되었고, 무작위대조실험설계연구(RCT)는 패럴림픽 논문 3편, 스페셜올림픽 논문 2편, 데플림픽 논문 1편으로 확인되었다. Perret(2015)의 모델을 이용하여 각 연구의 경기력 결정요인을 범주화한 결과, 체력 및 기술 훈련요인(n=3), 체력훈련요인(n=8), 기술훈련요인(n=2), 코칭요인(n=4), 환경요인(n=2), 심리요인(n=6), 회복요인(n=1)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장애인스포츠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다양한 종목을 대상으로 스포츠과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increasing support for disability sports every year, scientific training and support system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Kim, 2016; Kim,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need of sport science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rection of related follow-up research through systematic review in Deaflympics, Special Olympics, and Paralympics. Literature search targeted Korean or English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September 2019 using KISS, RISS, DBpia, PubMed, Eric, MEDLINE, and Academic Search Complete for research issues selected by PICO-TSS. For search words, three major competitions wer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types and performance-related terms. According to PRISMA, 1808 papers were initially selected and finally extracted to 26 papers. Among the final papers, six papers that employ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were evaluated for risk of bias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Tool. A total of 16 Paralympics papers, 7 Special Olympics papers, and 3 Deaflympics papers were included, and RCT design was applied in 3 Paralympics, 2 Special Olympics, and 1 Deaflympics studie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determinants of athletic performance based on the model of Perret (2015), physical and technical training(n=3), physical training(n=8), technical training(n=2), coaching(n=4), environmenta (n=2), psychological(n=6), and recovery(n=1) factors were found.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ailore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o effectively improve performance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a scientific approach in different disability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