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는 평생체육교육으로서 생활체육의 미래를 살피고,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를 선행연구물과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법적 근간을 살피며 평생체육으로서의 생활체육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였고, ’스포츠비전 2030‘에서 생활체육의 미래 발전방향을 탐색하여, 생활체육 정책에서 스포츠 교육학의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스포츠 교육학은 생활체육 현장의 학습자, 지도자, 교육과정 이해를 도울 수 있음을 강조하고, 생활체육의 주요 주체인 지도자를 스포츠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교육방법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육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광범위한 생활체육 영역에서 스포츠 교육학 독자적인 내용 정립의 한계, 정책 주도적 특성이 강한 생활체육 현장, 학문적 연구에의 낮은 접근성 등이 스포츠 교육학이 생활체육에 관심을 갖는데 있어 한계점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향후에는 평생체육교육현장에서 실천적인 연구물이 스포츠교육학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정책도 스포츠교육학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ture of daily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sport pedagogy, and explor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sport pedagogy for the promotion of sport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lated theories. To this end, it looks at the legal foundation and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daily sports as lifelong sports, and explor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daily sports under ‘Sports Vision 2030’, stressing the need for academic efforts of sport pedagogy in daily sports policies. In addition, with an emphasis on sport pedagogy that can help learners, leaders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sports, it argues for the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education methods to help leaders, who are the key players in daily sports, grow into sports educators, and improve the sports leadership qualification system.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sports leaders' expertise, the limitation of establishing independent contents of sport pedagogy in a wide range of areas of daily sports,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sports strongly affected by policies and the low access to academic research, etc. would appear as limitations in sport pedagogy turning attention to daily sports. In the future, the study emphasizes that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lifelong sport pedagogy from the perspective of sport pedagogy, and that relate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sport pedagogy.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기반 체육 수업 운영 구조 설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다양성’을 기반으로 체육수업에서의 모든 학생을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인으로 바라보고, 각 학생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체육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체육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특수교육에서 주로 사용해 온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을 기반으로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설계 과정을 구조화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체육교육 실천을 위한 수업 설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수업 실천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체육수업, 역량중심 체육 교육과 과정중심 교육과 평가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으로써의 보편적 학습 설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체육수업 계획 과정에서 교사수준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 한 분석 - 설계 - 실행 - 반성의 체육수업 운영 구조를 설계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 특성, 시설 환경, 교육과정 분석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학습 목표, 학습에서의 장애, 학습 변형, 학습 동기 유발, 개인별 학습 활동 선정, 평가의 방법을 고려하며, 실행에서는 설계된 내용을 실천하고 평가하고, 반성 단계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반성을 거치며 수업을 재구조화하는 순환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신체활동을 ‘다르게’ 배우는 모든 학생들을 고려하는 체육수업 실천의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n important task of physical education to view al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individual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based on 'diversity' and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each student‘s needs. This study aims to devise a teacher-level curriculum design process framewor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ory mainly used in special education, and to specifically present physical education plans for all students. To this end,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emphasized as a new approach to realize personalized physical education, competency-oriented physical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education and assessment,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In addition, by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pectrum, FAMME motel, and checklist for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curriculum operating framework emphasizing analysis - execution - assessment - feedback was devi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ning process based on teacher-leve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se efforts could be a new approach to practicing physical education that respects al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