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완전 관해를 보인 특발성 막성 신염 환자의 장기 예후

        강미정 ( Kang Mi Jeong ),진규복 ( Jin Gyu Bog ),성정훈 ( Seong Jeong Hun ),황은아 ( Hwang Eun A ),한승엽 ( Han Seung Yeob ),박성배 ( Park Seong Bae ),김현철 ( Kim Hyeon Cheol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3

        배경 : 막성 신염은 성인 특발성 신증후군의 가장 흔한 병리학적 병변으로 임상경과는 대부분 잠행성으로 알려져 있다. 막성 신염 환자에서 장기 예후가 양호할 것으로 보고된 인자로는 젊은 연령, 여성, 비신증후군 범위의 단백뇨, 진단 시의 정상 신기능, 신생검상 경한 사구체 변화, 신간질의 병변이 없을 때 등이다. 이 밖에 단백뇨의 완전 관해가 있을 경우 장기 예후가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으나 관해 후의 임상 경과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 1982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통해 특발성 막성 신염으로 진단된 환자 149예 중 완전 관해를 이룬 46예 (31%)를 대상으로 단백뇨의 관해 후 재발 여부와 이에 따른 장기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결과 : 특발성 막성 신염의 149예 가운데 46예 (31%)에서 완전 관해를 보였으며 이중 자연 관해 24예 (52%), 면역억제제 및 스테로이드 병합요법 14예 (30%), 경구 스테로이드 단독요법이 8예 (17%)였다. 신생검시의 임상 양상은 신증후군 26예 (57%), 급성 신염 증후군 11예 (24%), 부증상적 요이상 7예 (15%), 재발성 육안적 혈뇨 2예(4%)였다. 완전 관해에 도달하는 시기는 평균 38개월 (7-170)이었고, 단백뇨의 완전 관해 후 34예 (74%)에서 지속적인 관해를 보였으며 12예 (26%)에서는 단백뇨가 재발하였으나 관해 후 평균 89개월의 추적기간 중 신부전으로 진행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다. 완전 관해 후 5년 및 10년 관해 유지율이 각각 0.73 및 0.60였다. 단백뇨의 완전 관해 후 관해 유지군과 재발군 사이에 성별, 나이, 치료 여부, 혈청 알부민, 혈청 콜레스테롤, 혈청 creatinine치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재발군에 비해 관해 유지군에서 관해 당시 혈청 콜레스테롤치 및 혈청 creatinine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결론 : 특발성 막성 신염 환자에서 단백뇨의 완전 관해가 있을 경우 장기 예후는 매우 양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natural history of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is often benign, but approximately 30% of the patients develop renal insufficiency and progress to end-stage renal failure over 5 to 15 years. Several retrospective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o identify favorable factors influencing the long-term prognosis of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ignificance of remission of proteinuria in this disease. Methods : Forty- six patients with biopsy-proven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who achieved complete remission (CR) of proteinuria between 1982 and 2003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between persistent remission group and relapsing group after CR of proteinuria. Results : Complete remission of proteinuria was seen in 46 patients (31%) and was obtained 7-170 months (mean 38 months) after discovery of the disease. During mean 89 months follow-up, 74% of the patients remained in remission and 26% relapsed. However, proteinuria disappeared again spontaneously in some patients so that at last follow-up 83% of the patients are in C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free of proteinuria at 5 and 10years after CR was 0.73 and 0.60, respectively. 5 and 10years renal survival in patient with CR were 1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patient without remission were 89% and 75%,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e could not find any specific clinical factors favored maintenance of remission, except serum level of creatinine and serum cholesterol during remission, which are significantly less in patients with persistent remission. Conclusion : In conclusion, CR of proteinuria is a strong predictor of long-term favorable outcome in patients with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Korean J Nephrol 2004 ;23(3):412-418)

      • SCOPUSKCI등재

        고칼륨혈증을 동반한 원위 신세관성 산증의 임상상

        강미정 ( Kang Mi Jeong ),곽충환 ( Gwag Chung Hwan ),진규복 ( Jin Gyu Bog ),황은아 ( Hwang Eun A ),한승엽 ( Han Seung Yeob ),박성배 ( Park Seong Bae ),김현철 ( Kim Hyeon Cheol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2

        배 경 : 신세관성 산증은 신세관에서의 산성화 기능장애로 대사성 산증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중 제 4형 신세관성 산증은 원위 신원에서 칼륨과 수소이온의 분비장애로 인해 산혈증과 고칼륨혈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제 4형 신세관성 산증은 신세관성 산증 증에서 가장 빈도가 높으며 흔히 저레닌성 저알도스테론증이 동반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서는 세 4형 신세관성 산증에 관한 몇몇 증례만 보고되었을 뿐 종합적인 임상 보고는 거의 없다. 방 법 : 저자들은 1984년부터 2003년 3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진단한 고칼륨혈증을 동반한 원위 신세관성 산증 50명을 대상으로 임상소견, 동반질환 및 전해질 소견, 치료 및 경과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전체 50명 가운데 남자 23명, 여자 2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0.8≥19.5세였다. 동반질환으로는 신이식 후 14명(28%), 당뇨병 11명 (22%), 전신성 홍반성 남창 6명 (12%), 고혈압 6명 (12%), 만성 신세관간질성 신질환 6명 (12%), 그 외 윈인미상이 5예 (10%)였다. 임상증상으로는 무증상의 고칼륨혈증이 17명 (34%)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신쇄약감 14명 (28 %), 전신부종 8명 (16%), 호흡곤란 5명 (10%), 기타 증상이 6예 (12%) 있었다. 진단시 신기능은 혈청 평균 creatinine 2.1±1.3 ㎎/dL, 평균 creatinine 청소율 25.6±16.4 mL/min 이었으며 혈청 pH는 7.3±0.05, 혈청 HCO₃^(-) 16.3±2.9 mEq/L을 보였다. 혈청 음이온 차는 평균 8.05±2.16, 혈청 Na는 평균 136.9±4.6 mEq/L, 혈청 Cl는 평균 110.9±5.2 mEq/L이었고, 혈청 K는 평균 6.18±0.64 mEq/L로 증가되었다. 요 pH는 평균 5.83±0.87이었고, 요 음이온차는 평균 37.9±30.6의 양의 값을 보였다. 혈장 레닌과 알도스데론치의 평균은 각각 3.82±7.16 ng/mL/hr, 110.2±108.16 ng/mL이었다. 치료는 9-α-fludrocortisone 단독이 19명 (38%), furosemide 단독 7명 (14%), K-교환수지 단독 5명 (10%), furosemide와 K-교환수지 병용 5명 (10%), 식이로 조절한 경우가 10명 (20%)이었다. 결 론 : 제 4형 신세관성 산증은 비교적 흔한 전해질 대사 질환으로 원인 미상의 고칼륨혈증이 동반될 경우 가장 먼저 의심해야할 질환 중의 하나로 조기 진단을 통한 병태생리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nal tubular aicdosis (RTA) is a disorder of renal acidification out of porportion to the reduction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Type Ⅳ RTA refers to hyperkalemic metabolic acidosis resulting from aldosterone deficiency or resistance. The incidence of each type RTA has not been reported exactly, however reports on type Ⅳ RTA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 Methods :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50 patients with hyperkalemic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diagnosed between Jan. 1984 and Feb. 2003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Results : From 1984 to 2003, 50 cases of hyperkalemic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were diagnosed. The mean age was 50.8±19.5 years. The two most common conditions were posttransplantation (28%), and diabetes mellitus (22%), which were followed by hypertension (12%),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2%), chronic renal failure (12%), and others (26%). Asymptomatic hyperkalemia (34%), and muscle weakness (28%) were the two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s. All patients demonstrated normal anion gap acidosis with positive urine anion gap. The mean creatinine learance was 25.6±16.4 mL/min. The mean baseline PRA and aldosterone levels were 3.82±7.16 ng/mL/hr and 110.02±108.2 ng/mL, respectively. Hyperkalemia was well responded to 9-α-fludrocortisone, furosemide, K-exchane resin, and combinations of these regimens. Conclusion : Type Ⅳ RTA is the most common type of RTA in children and adults, and can be an important cause of asymptomatic hyperkalemia. Therefore, type Ⅳ RT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rential diagnosis of unexplained hyperkalemia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Korean J Nephrol 2004;23(2):263-26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