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 채용에 대한 벤처경영인의 인식분석

        송수진(Sujin Song),이보라(Bora Lee),강정훈(Jeonghun Kang),지수인(Sooin Jee)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0 경영과 사례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채용자의 관점에서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 채용 경험을 분석하였다. 벤처경영인들이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하고자 하는 이유와 그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 경력단절 여성 채용이 기업에 미치는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점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벤처경영인 8명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벤처경영인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위험 관리를 위한 고효율 인력으로서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하였다. 또한 제약된 시간 아래에 일-가정 양립을 추구하려는 경력단절 여성들의 특성이 근무 시간에 몰입하는 태도로 이어져, 채용 기업의 조직 문화 및 타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기존 관련 연구들이 경력단절 여성 관점에서 그들의 재취업 경험을 살펴본 것과 달리, 벤처경영인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며, 고령화 저출산 시대에 경력을 보유한 유휴인력 활용이라는 대안적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다. We analyzed the entrepreneur’s experience of hiring highly-educated career-disrupted women.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otivations and meanings associated with the entrepreneurs’employment of highly-educated career-disrupted women and analyze its organiz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EOs of the recruited venture firms. Venture firm CEOs employed highly-educated career-disrupted women as highly efficient resources to reduce the risk against uncertainty. It was also recogniz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disrupted women who sought to pursue work-family compatibility under the time constraint led to an immersive attitude during work hours,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recruiting company and other members. As a result, venture business owners employed women with no experience as highly efficient personnel for risk management against uncertainty. It was also recogniz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women who sought to pursue one-family compatibility under the constrained time led to an immersive attitude during work hours,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recruiting company and other members. Most of the prior literature on career-disrupted women examined women s own experiences. However, this paper analyzed the venture firm CEO s hiring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career-disrupted women. The findings can shed a light to develop a policy that utilizes an idle workforce with exper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미경(Mi Kyoung Lee),성현모(Hyunmo Seong),김은주(Eunjoo Kim),지수인(Sooin Jee),안성식(Sungsik Ah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자유의지와 일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대학생 330명(남학생 185명, 여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일 자유의지 중 의지요인과 일희망 모두를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을수록 의지요인은 낮았으며, 낮은 의지요인은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낮아진 의지요인은 일희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 자유의지 중 제약요인은 일희망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을수록 일 자유의지의 제약요인을 더욱 크게 인식하며, 이는 일희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 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한 미래로 삶의 만족이 떨어지는 대학생에게 일 자유의지와 일희망이 중심이 되는 진로개발 개입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role of work volition and work hope in the link between intolerance to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330 (185 males, 117 females)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multiple mediator model was tes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olition variable in work volition and work hope were mediating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to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intolerance to uncertainty was related to lower level of volition, which led to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lower level of volition showed negative influences on work hope and ultimately negativley affected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 hope played as a mediator in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constraints of work volition and life satisfaction. That is, higher level of intolerance to uncertainty was linked to greater perception of constraints regarding work, which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low work hope. Such results suggest the need of career development strategy that focuses on work volition and work hope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low life satisfaction due to the uncertain futur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