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완전통합교육론과 저출현 장애아교육의 모순 -미국 시각장애아 교육의 관점에서-

        중촌만기남 ( Nakamura,Makio ),강전자 ( Oka,Noriko ),조원일 ( Won Il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2

        통합교육이 완전통합에 이른 단계에서 그 이념에 반하여 장애 마이너리티가 생기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완전통합론을 창도한 이들이 최대의 문제로 삼은 분리 내지 격리와 그 관련 문제를 중심으로 그들이 무엇을 달성하려 하였는지에 대해 장애 마이너리티의 전형으로서 시각장애의 관점에서 검토했다. 완전통합에서는 특수교육과는 다른 대상론을 갖고, 장애에 따른 독특한 요구와 분리적 환경에서의 교육에 대해서는 대개 부정적이며, 분리를 통해 정치적으로 인종차별을 연상케 하였다. 또한 완전통합론에서 분리를 부정하고 특수교육의 해소를 지향한 것은 분리가 민주제 사회로의 완전참가를 저해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완전통합론자가 효율성을 문제로 삼은 것은 한정된 자원의 유효한 배분이라는 발상에서였다. 그러나 완전통합론의 보편적 이념과 각 장애의 개별의 요구가 정합되지 않는 점으로부터 시각장애 등에서는 완전통합의 이념에 반하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In the stage to which inclusion movement has evolved full inclusion, the disability minority group such as visual or auditory impairment that it attempted to eliminate has appeared. So, it is required to reexamine the principles that the inclusion advocates consider as important. In this paper, it is made clear from standpoint of blindness as a typical disability minority group what full inclusionists will attain through criticisms of segregation and its related matters. In full inclusion, it had a different subject theory from special education. full inclusionists insist that separation means racial segregation politically. Moreover, full inclusionists tended to deny separation and special education, because it thought that separation impedes the full participation of people including the disabled to democracy society and construction of democratic society as their last purpose. full inclusionists consider as a problem the efficiency issue of special edu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effective distribution of the limited resources. However, since the universal idea of full inclusion and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disability were not adjusted, the results contrary to the idea of full inclusion arose in the disability minority such as the visual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