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회계전공자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PBL 수업의 효과 분석

        주해봉 ( Ju Hae-bong ),김영락 ( Kim Young-rok ),이종승 ( Lee Jong-seung ),임상종 ( Lim Sang-jong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회계전공자들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실무역량의 부재로 인하여 다시 실무중심의 교육을 받는데 많은 자원과 시간을 투자하는 현실을 인식하고 대학에서의 회계 관련 과목의 학습이 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역량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강의식 학습방법은 실무역량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무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스스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가져야한다. 이에 연구자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팀별 학습을 진행 할 수 있는 PBL(Preblem-Based Learing)이 실무역량을 강화시키는데 적합한 학습방법이라고 판단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PBL의 적용사례들을 분석해본 결과의사소통능력, 협동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통합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같은 요소가 실무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K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회계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군인 PBL 수업의 수강생들과 대조군인 강의식 수업의 수강생들의 학습효과 설문조사를 통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검증하고자 했던 모든 측정항목에서 PBL 적용 수업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협동능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통합능력, 의사소통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fact that accounting majors invest a lot of resources and time in getting back to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ability when they enter society after graduation. And to see how they effectively improve their working capacity. The existing lecture learning method has limitations in enhancing the practical abil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ha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diagnose problems an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vents occurring in the work. Therefore, the researcher decided that PBL (Preblem-Based Learning), which enables self-directed team-based learning with unstructured problems, is a suitable learning method for strengthening practical skills.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integr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working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BL clas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BL-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all the items to be tested. In particular, they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cooperative ability, followed by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tegr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