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5~1946년 중국 우한 지역 한인의 수용과 귀환 - 일본군 ‘위안부’를 중심으로 -

        주영음(Zhou, Ying Yin)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4 No.-

        본문에서는 1945-46년 우한지역의 한인의 귀환과정을 살펴보았다. 1945년 중일전쟁이 끝나기 우한의 한인사회는 우한에서 폭넓게 존재했던 위안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우한의 한인 단체인 계림회는 일본군이나 영사관에 종사하는 친일적 인사와 위안소 운영자,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들로 구성되었다. 이복현은 만주국 정부에서 일했고 해방 전에는 일본군 특무대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밀정을 담당한 경력이 있는 한인이다. 종전 이후 우한의 한인들이 한인회 등 단체를 구성했으나 이복현 등 일본군 특무, 영사관 밀정 등이 간부직을 맡았으며 계림회의 후신으로 볼 수 있다. 전쟁이 끝나자 국민당 정부 측은 한인들을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적성 국가의 외국인으로 취급했다. 처음 국민당 정부는 관내 일본 점령 지역의 한인들을 일괄 수용하여 한국으로 송환을 추진했다. 그러나 임시정부와 한인 측의 의견을 받아들여 한인과 일본인을 분리하여 수용, 귀환하게 했다. 또 죄가 없는 한인 가운데 중국에서 남기를 원하는사람들은 심사를 거쳐 거주를 허락했다. 국민당 정부는 일반 한인과 일본군 소속 한인 병사들을 따로 분리하여 수용하되, 1946년 초까지 각지에서 관리하면서 단계적으로 상하이로 집중시켜 송환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우한은 상하이로 보내기 전 주변 지역의 한인들을 모두 집중시켜 수용 관리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1945년 8월 이후 국민당 정부는 화남선무단 우한분단과 협력하여 한인들의 ‘집중관리’를 시행했다. 화남선무단 우한분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산하단체로 우한분단장은 중국군 장교 출신으로 광복군 5지대장인 권양무가 맡았다. 화남선무단 우한 분단의 사무실은 한인 밀집 지역이며 위안소 지역이기도 한 ‘한커우 중산로 지칭리(漢口中山路積慶里)”에 위치했다. 광복군 5지대와 화남선무단 우한 분단은 중국 지방 정부와 협력하여 한인 사병와 일반인들의 수용과 귀한을 추진했다. 일반 한인들의 수용을 한인교민회와 집중구제6보(集中區第六保)가 담당했다. 우한 한인교민회는 1945년 8월 이후 친일 한인들과 위안소 관계자들이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은 위안소 집중 지역인 지칭리에 한인 수용시설을 들어서도록 했으며, 한인들의 수용과 송환을 실제로 담당했다. 그러나 이들은 화남선무단 우한분단과 충돌하여, 권양무에 의해 회장과 부회장이 모두 구속당했다 1946년 5월 이후에 비로소 석방되었다. 집중구제6보는 한커우시정부가 한인을 관리하기 위해서 설치한 지방 보갑(保甲)기관이었다. 지칭리 등 우한 지역의 한인 수용시설에 수용된 한인의 상당수는 일본군 위안부들이었다. 해방 후부터 한인송환을 마칠 때까지 우한지역의 한인은 최소 2,500 명 이상이었는데, 10~20대 여성들이 인적 구성의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 또한 대부분 현지에서 위안부들이 그대로 집단 수용되었으며, 한인회나 광복군 관계자들이 통제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전쟁이 끝났다고 해도, 중국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들에게‘해방’은 찾아오지 않았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