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칩의 크기가 제한된 단일칩 프로세서를 위한 레벨 1 캐시구조

        주영관,김석일,Ju YoungKwan,Kim Suki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2

        This paper measured a proper ratio of the size of demand fetch cache $L_1$ to that of prefetch cache $L_P$ by imulation when the size of $L_1$ and $L_P$ are constant which organize space-limited level 1 cache of a single microprocessor chip. The analysis of our experiment showed that in the condition of the sum of the size of $L_1$ and $L_P$ are 16 KB, the level 1 cache organization by constituting $L_P$ with 4 KB and employing OBL and FIFO as a prefetch technique and a cache replacement policy respectively resulted in the best performance. Also, this analysis showed that in the condition of the sum of the size of $L_1$ and $L_P$ are over 32 KB, employing dynamic filtering as prefetch technique of $L_P$ are more advantageous and splitting level 1 cache by constituting $L_1$ with 28 KB and $L_P$ with 4 KB in the case of 32 KB of space are available, by constituting $L_1$ with 48 KB and $L_P$ with 16 KB in the case of 64 KB elicited the best performance. 이 논문에서는 단일 칩 프로세서에서 제한된 공간의 레벨 1 캐시를 구성하고 있는 선인출 캐시 $L_P$와 요구인출 캐시 $L_1$의 합이 일정한 때, $L_1$와 $L_P$의 크기의 적정한 비율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L_1$와 $L_P$의 합이 16KB일 경우에는 $L_1$을 12KB, $L_P$를 4KB로 구성하고 $L_P$의 선인출 기법과 캐시교체정책은 각각 OBL과 FEO을 적용시키는 레벨 1 캐시 구조가 가장 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또한 이 분석은 $L_1$와 $L_P$의 합이 32KB 이상인 경우에는 $L_P$의 선인출 기법으로는 동적필터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보였고 32KB의 공간이 가용한 경우에는 $L_1$을 28KB, $L_P$를 4KB로, 64KB가 가용한 경우에는 $L_1$을 48KB, $L_P$를 16KB로 레벨 1 캐시를 분할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성능을 발휘함을 보였다.

      • KCI등재

        LSTM을 사용한 펄스 레이다 신호 속성 분류

        전중남(Joongnam Jeon),서보석(Bo-Seok Seo),주영관(Youngkwan Ju),심홍석(Hong-Suk Shim),강희석(Hee-Seog Kang)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11

        이 논문에서는 수신된 펄스 레이다 신호의 특징 데이터로부터 속성을 정의하고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그 속성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류기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망과 완전연결 신경망(fully-connected neural network)으로 구성된다. LSTM 망의 입력으로는 펄스를 기술하는 특징값 중에서 펄스 반복 간격과 무선주파수를 사용한다. 분류기의 출력은 정의한 펄스 속성으로 펄스 반복 간격과 무선주파수의 변화 형태, 한 주기를 이루는 계단의 수, 한 계단을 이루는 펄스 수 등 3개 종류이다. 분류기는 입력의 종류 개수에 따라 단일입력 및 다중입력 두 구조를 제시한다. 분류 가짓수는 분류기 구조에 따라 다르며, 다중입력 분류기는 전체적으로는 22,410개의 레이다 신호 속성을 분류한다. 펄스열의 비이상적인 특성으로는 펄스 누락과 다른 펄스 유입, 그리고 펄스 특징값 측정 오차를 고려한다. 모의실험 결과, 많은 분류 가짓수에도 불구하고, 제안한 방법은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낸다. In this study, the feature attributes from a received pulse radar signal are defined and certain methods are proposed to classify the attributes using machine learning. The classifier is composed of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network and a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 As inputs to the LSTM network, pulse repetition interval and radio frequency are used among the pulse description words. The outputs of the classifier can be organized into three types of attributes, i.e., the change pattern of the pulse repetition interval and radio frequency, the number of steps in a period, and the number of pulses in a step. Two classifier structures, single-input and multiple- input,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types. The number of classes varies depending on the classifier structure and the multiple-input classifier classifies 22,410 radar signal attribute sets. The missing pulses, the introduction of any non-desired pulses, and an error in measuring the pulse features are considered as the non-ideal characteristics of the pulse trai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despite the large number of classification opt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