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실천의 의미와 본질탐구를 위한 자기 성찰적 현상학적 연구 : - 복지관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

        조휴정 ( Cho Hyu Jeo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6 No.1

        해마다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또한 증거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책무성 등이 중요시됨에 따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민도 깊다. 연구자는 이러한 위기와 변화의 시기에 사회복지사들에게 사회복지실천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질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적 질문에서 출발했다. 연구자는 Van Manen(2016)의 자기 성찰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10명의 현직 사회복지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211개의 의미단위를 구성했고, 이것들을 압축, 요약하여 54개의 드러난 주제, 13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성한 범주들을 Van Manen(2016)이 제시한 4가지 근본적 실존체에 배열했다. 연구자는 반성적 글쓰기로 사회복지사의 자기성찰을 통한 경험 속에 내재 되어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이지를 이해하고 이것이 가지는 사회적 의의가 무엇이며 사회복지사들이 보다 성찰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실천을 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였다. Although more social workers graduated every year, the field of social work has been experiencing a labor shortage. Furthermore social responsibility is developing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and accountability. The author became to raise the question: “what are the meaning and nature of social work practices for social workers?”. The author used the self-reflec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Van Manen(2016) by interviweing10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As a result, 211 semantic units were drawn 54 exposed subjects and 13 essential subjects were extracted at the final state. Categorie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ere arranged in four basic existential units in accordance with Van Manen(2016). Using reflective writing, the researcher author cam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social work practice inherent in social workers' self-reflective experience and their social significance and proposed some tasks for the more reflective and human-centered practice of the social workers.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성심(Cho, SungSim),권지성(Kwon, JiSung),윤호순(Yoon, HoSoon),조휴정(Cho, HyuJe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경험은 3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로 이루어졌다. 주제로는 ‘클라이언트를 보는 시선: 밑바닥에서 현실을 보다’, ‘나를 향한 시선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정체성 찾기’, ‘일을 바라보는 시선: 진흙탕 속에서 꽃 피우기’ 등이 나타났다. 하위 주제들을 보면, ‘클라이언트를 보는 시선: 밑바닥에서 현실을 보다’는 ‘현장: 내가 죽어야 사는 곳’, ‘좋은 클라이언트와 나쁜 민원인 사이’, ‘의존과 자활의 경계에서’로 구성되었다. ‘나를 향한 시선들: 사회복지전 담공무원의 정체성 찾기’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바라보는 이중적 태도’, ‘내 자리를 찾아가기’, ‘섬에서 외롭지 않게 살아가기’로 구성되었다. ‘일을 바라보는 시선: 진흙탕 속에서 꽃 피우기’는 ‘끝나지 않는 일: 월화수목금금금’, ‘진화하는 욕구와 뒷북치기’, ‘이름뿐인 혁신’, ‘전문성: 스스로 대처하고 개발하기’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활용할만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job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qualitative approach.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s are figured in the three themes and 10 sub-themes. The themes are ‘the gaze toward client: seeing reality at the bottom", "the gazes toward me: finding identity of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the gaze toward work: blooming flowers in the mu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policies and practice guidelines to positively transmute the work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